흑백만화 ‘고우영 삼국지’가 올컬러 종이책으로 재출간되었다는데… 고우영은 한국 만화의 독자층을 어린이에서 어른으로 끌어올린 성인만화의 개척자였다
↑ 고우영 만화에 등장한 주요 인물들의 캐릭터 by 김지지 고우영이 남긴 흑백 만화 ‘고우영 삼국지’가 10권 분량의 올컬러 종이책으로 최근 출간됐다. 고우영의 […]
↑ 고우영 만화에 등장한 주요 인물들의 캐릭터 by 김지지 고우영이 남긴 흑백 만화 ‘고우영 삼국지’가 10권 분량의 올컬러 종이책으로 최근 출간됐다. 고우영의 […]
↑ 미국에서 귀환한 ‘앙부일구’(출처 문화재청) 조선의 낙후성 드러내는 유물이 ‘조선 과학 기술의 정수’로 둔갑되는 현실 작년 말 미국에 있던 조선 해시계가 귀환했습니다. 18세기 […]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아해’라는 표현은 최소한 113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나이가 어린 사람을 ‘아이’라고 합니다. 한데 저는 ‘아해’라는 표현을 고집합니다. 잘 아시듯, […]
↑ 영은문(왼쪽)과 독립문 과거 이 땅의 지식인들은 ‘우리가 중국의 속국’이라고 인정했는데 잊고 싶은 ‘흑역사’가 누구에게나 있을 겁니다. 실수를 전혀 하지 않거나, 비굴했던 적이 […]
↑ 원이엄마 한글편지 사본 ☞ [연인과 부부] 시리즈 전체가 궁금하다면 클릭!! by 김지지 ■원이 아버지께 차분히 읽어본다. 지금부터 435년 전, […]
↑ 국립국어원 사이트 캡쳐 원래 표기는 ‘미류(美柳)나무’… 지금은 많은 이들이 발음한다는 이유로 ‘미루나무’ “미류나무 꼭대기에 조각구름이 걸려 있네, 봄 바람이 몰고 와서 걸쳐 […]
↑ ‘펜타곤 보고서’를 처음 보도한 뉴욕타임스 기사(1971년 6월 13일) by 김지지 ‘펜타곤 페이퍼’로 불리는 미 국방부 기밀문서를 입수해 통킹만 사건 조작 등 […]
↑ 영국 BBC 방송이 캠브리지 5인조를 모델로 2003년 제작한 미니시리즈 ‘cambridge spies’ 포스터 by 김지지 ‘모스크바 스파이들의 스승’이라 불리는 영국과 러시아 이중간첩 조지 […]
↑ 밥 딜런의 2번째 앨범 ‘The Freewheelin’ Bob Dylan’(왼쪽)과 6번째 앨범 ‘Highway 61 Revisited’ by 김지지 밥 딜런이 60년간 창작한 자신의 노래 […]
↑ 수능 시험지 나는 사실에 바탕 하지 않으면 신뢰하지 않는다 비록 삼류였지만, 오랫동안 기자를 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저는 ‘사실’을 숭배합니다. 그렇기에, 소위 ‘정치적 […]
↑ 재수학원 모습 (출처 솜마투스 학원) 입시만큼, 사회 방향을 알려주는 지표는 없어 입시와 관련한 뉴스를 잘 살펴보는 편입니다. 입시만큼, 한 사회의 방향을 알려주는 […]
↑ 아사카와 다쿠미 by 김지지 다쿠미, 17년간 조선에서 살다 조선의 흙이 돼 일본의 민예연구가 야나기 무네요시가 머리와 지성으로 조선을 사랑했다면 아사카와 다쿠미(1891~1931)는 […]
↑ 영화 ‘살인의 추억’의 한 장면 by 김지지 ‘화성 연쇄살인 사건’이 처음 일어난건 1986년이다. 이후 1991년까지 총 10건의 연쇄 살인사건이 일어났다. […]
↑ 박목월·박두진·조지훈(왼쪽부터) by 김지지 ■‘청록집’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조지훈·박목월·박두신 세 시인의 시풍은 다른 듯하면서도 닮아 1939년 초 시인 정지용이 ‘문장’의 시 추천위원으로 […]
↑ 나포되기 전의 푸에블로호 by 김지지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최근 KBS와의 인터뷰에서 “푸에블로호를 평양에서 워싱턴으로 송환한다면 이것을 굉장히 적극적인 신뢰조치로 받아들이고, 북·미 […]
↑ 제임스타운 상상도. 미국 국립공원관리청 소속 화가 Sydney King 作 ☞ 클릭!! 영국의 미국 개척사 3-① 메이플라워號 미국 땅 상륙… 플리머스 식민지 ☞ […]
↑ 신대륙 플리머스 앞바다에 정박 중인 메이플라워호 그림 (1882년, William Halsall 作) ☞ 클릭!! 영국의 미국 개척사 3-② 버지니아 식민지… 월터 롤리와 제임스 […]
↑ 보스턴항에 도착한 윈스럽의 배 그림 (1914년, William F. Halsall 作) ☞ 클릭!! 영국의 미국 개척사 3-① 메이플라워號 미국 땅 상륙… 플리머스 식민지 […]
↑ 김용섭(왼쪽)과 ‘조선후기농업사연구’(전2권) by 김지지 김용섭 연세대 명예교수의 ‘김용섭 저작집’이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주관하는 제1회 한국학 저술상 수상작으로 2020년 2월 선정되었다. 저작집은 ‘조선후기농업사연구’ ‘한국근대농업사연구’, […]
↑ 니콜라이 2세 일가(1913년 촬영).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올가, 마리아, 니콜라이 2세, 알렉산드라 황후, 아나스타샤, 알렉세이, 타티아나 by 김지지 제정(帝政) 러시아의 마지막 공주 아나스타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