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영국에서 존경받는 세 총리] ② 클레멘트 애틀리… 내치는 복지·국유화·계획경제 우선했으나 외교는 반소·친미 정책으로 국익 우선한 실사구시형 노동당(좌파 정당) 총리
↑ 클레멘트 애틀리 by 김지지 ■ ‘현대 총리 중 역대 최고’로 꼽힐 때 많아 2022년 현재 영국 총리는 보리스 존슨이다. 총리 순서 […]
↑ 클레멘트 애틀리 by 김지지 ■ ‘현대 총리 중 역대 최고’로 꼽힐 때 많아 2022년 현재 영국 총리는 보리스 존슨이다. 총리 순서 […]
↑런던 시내를 걷다가 시민을 향해 ‘V’ 사인을 보내는 처칠 (1943년 6월) by 김지지 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5월 16일 국회에서 열린 추가경정예산안(추경) 관련 […]
↑ 독일의 무명화가가 그린 ‘호퍼가 여성의 초상화(Portrait of a Woman of the Hofer Family)’ 어릴 적, 신라의 천재 화가 ‘솔거와 소나무’ 이야기를 들으셨을 […]
↑ ‘인왕제색도’ 그림 5월 7일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고 이건희 소장품 전시회(공식 명칭은 ‘어느 수집가의 초대’)를 보았습니다. 관객의 눈길을 가장 오래 붙들고 있는 […]
↑ 21살 니진스키(왼쪽)와 39살 댜길레프(1911년) ☞ [연인과 부부] 시리즈 전체가 궁금하다면 클릭!! by 김지지 러시아 발레단 ‘발레 뤼스’가 프랑스 파리의 샤틀레 […]
↑ 김규식 by 김지지 2022년 3월 31일 미국 버지니아주 세일럼에 있는 로어노크 대학 교정에서 새로 지정된 버지니아주 역사기념물 표지판 제막식이 열렸다. 표지판의 […]
↑ 1972년 5월 15일 오키나와의 일본 복귀를 축하하는 플래카드 by 김지지 독립 왕조 ‘류큐(琉球) 왕국’이 일본의 오키나와현으로 강제 편입된 것은 1879년 1429년 […]
↑ 레닌과 스탈린 (1922년) by 김지지 강철 같은 기질로 과업을 추진해 레닌의 신임 받아 1924년 1월 21일, 인류 역사상 최초로 공산주의 국가를 […]
↑ 청와대 본관 by 김지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현재의 청와대에서 용산 국방부 청사로 옮기겠다고 2022년 3월 20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
↑ 왼쪽부터 김환기·김향안(1944년)과 이상(1920년대 후반) ☞ [연인과 부부] 시리즈 전체가 궁금하다면 클릭!! by 김지지 시인 이상(1910~1937)과 화가 김환기(1913~1974)는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사와 […]
↑고종 황제 일가. 왼쪽부터 영친왕, 순종, 고종, 순종비, 덕혜옹주 ☞ [연인과 부부] 시리즈 전체가 궁금하다면 클릭!! by 김지지 구한말 ‘역사의 수레바퀴’에 […]
↑ 이어령(출처 문학사상사) by 김지지 이어령(1934~2022)은 한국의 대표 석학이자 우리 시대 최고 지성으로 불렸던 르네상스형 인간이었다. “새하얀 눈길에 첫발 찍는 재미로 살았다”던 […]
↑ 1942년 4월 임시수용소인 산타 아니타 조립센터에 도착한 일본계 미국인들(1942.4.5) by 김지지 2022년 2월 19일은 최악의 미·일 관계를 상징하는 미 ‘행정명령 9066호’가 […]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 by 김지지 민음사가 최근 김수영 시인의 ‘시여, 침을 뱉어라’를 출간함으로써 세계문학전집 400권을 돌파했다. 그중 독자들에게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
↑제임스 조이스 (1926년) by 김지지 그의 문학이 세계 문학사에 길이 빛나는 이유는 미증유의 대담한 실험 때문 제임스 조이스(1882~1941)는 “셰익스피어 이후 가장 뛰어난 […]
↑ 안네 프랑크(왼쪽)와 ‘안네의 일기’ by 김지지 2차 세계대전 당시 ‘안네의 일기’ 주인공인 유대인 소녀 안네 프랑크 가족의 은신처를 나치에 밀고한 사람이 […]
↑ 관보(1952.1.18)에 고시된 ‘인접해양에 대한 주권에 관한 대통령선언’과 지도(오른쪽) by 김지지 일본 어민 수시로 우리 영해 침범하고 조업 일삼아 1952년 새해가 되자 […]
↑ 1989년 6월 4일 새벽, 천안문광장으로 진입하는 탱크부대를 한 청년이 맨몸으로 막아서고 있다. by 김지지 1997년부터 홍콩대 교정에서 24년간 전시해온 중국 천안문 […]
↑ 1973년 6월 9일 오전 포항제철소 제1고로에서 첫 쇳물이 쏟아져 나오자 박태준 당시 포항종합제철 사장과 임직원들이 만세를 부르며 환호하고 있다. by 김지지 […]
↑에드워드 윌슨 by 김지지 1970년대 세계 지성사에서 주목할 사건의 하나는 사회생물학의 도전이다. 사회생물학을 이끈 이들이 리처드 도킨스와 미국의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이다. 대중적으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