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세계 최고(最古) 금속활자본 ‘직지(直指)’를 거쳐간 인연들 2-②… 박병선, 조선일보

↑ ‘직지’ 속지

 

☞ ‘직지(直指)’ 인연들 1편 : 백운화상, 플랑시, 쿠랑, 파리만국박람회 클릭!!

 

by 김지지

 

■박병선… 잠자고 있던 직지를 발견하고 고증 끝내

‘직지’가 1955년 한국에서 유학 온 박병선의 눈에 들어온 것은 1967년 어느날이었다. 박병선은 책 표지에 쓰여있는 플랑시의 메모(1377년에 활자로 인쇄된 가장 오래된 한국 책)와 책 뒷장에 적혀있는 ‘선광칠년정사칠월일…(宣光七年丁巳七月日…)’ 글귀를 보고 1377년 한국에서 간행된 금속활자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후 직지는 5년간에 걸친 박병선의 고증 작업을 통해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이라는 사실이 확인되고 1972년 프랑스국립도서관의 도서전시회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이로써 직지는 세계 교과서에 수정을 가하게 되고 박병선은 ‘직지 대모’라는 수식어의 주인공이 되었다.

박병선(1923~2011)은 전북 전주에서 태어나 경기여고와 서울대 사범대 사회생활과에서 역사를 전공한 후 1955년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다. 1962년 벨기에 루뱅대학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소르본대학과 프랑스고등교육원에서 각각 역사학과 종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다만 국내 기록마다 박병선의 유럽 학력이 소르본대학, 파리7대학, 프랑스고등교육원, 피에르에 마리퀴리 대학 등으로 다른 것은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프랑스 유학시절의 박병선

 

아래 내용은 박병선이 언급하거나 자신이 유일하게 감수한 어린이 도서 ‘박병선’에 수록된 내용을 중심으로, 박병선이 어떻게 직지를 발견하고 세계 최고임을 고증했는지를 정리한 것이다. 박병선에 따르면, 유학을 떠나기 전 스승인 이병도 교수를 찾아갔을 때 스승이 “프랑스에 가거든 1866년 병인양요 때 강화도 외규장각에서 프랑스가 약탈해 간 의궤를 찾아보라”고 당부했다. 외규장각은 1782년 정조가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규장각이고, 의궤는 조선시대 국가나 왕실의 중요한 의식과 행사의 전 과정을 기록한 일종의 백서 같은 책이다. 때로는 그림으로 이해를 돕기도 한다. 박병선은 틈나는 대로 프랑스국립도서관을 중심으로 여러 도서관을 뒤졌으나 외규장각 의궤는 좀처럼 보이지 않았다.

 

‘선광칠년정사칠월일…(宣光七年丁巳七月日…)’ 글귀에 주목

그러던 중 1967년 프랑스국립도서관에서 임시 사서직 제안이 들어왔다. 유네스코가 1972년을 ‘세계 도서의 해’로 정했는데 프랑스국립도서관도 소장하고 있는 동양의 책들을 정리해 1972년 전시할 계획을 세우던 중 프랑스어를 알면서 한자도 능통한 박병선에게 동양문헌실의 임시 사서직을 제안한 것이다. 박병선은 의궤를 찾을 요량으로 도서관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당시 동양문헌실 서고에는 동양에서 언제 갖고 왔는지도 모르는 수많은 서적들도 가득했다.

박병선은 틈틈이 서고에 보관된 책들을 뒤졌지만 외규장각 도서들은 쉽게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그러던 1967년 어느날 한쪽 구석에 파묻혀있는 직지가 눈에 들어왔다. 표지에는 ‘直指(직지)’라는 한자가 쓰여 있었고 아래쪽에는 한국을 뜻하는 ‘COREEN’이라는 도장이 찍혀있었다. 누군가 프랑스어로 갈겨 쓴 ‘1377년에 인쇄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이라는 문장도 표지에 적혀 있었다. 박병선이 주목한 것은 책의 맨 뒷장 간기에 적힌 ‘선광칠년정사칠월일…(宣光七年丁巳七月日…)’라는 글귀였다. ‘우왕 3년에 청주목 교외의 흥덕사에서 주조된 금속활자로 찍은 책’이라는 뜻이었다. 선광 7년이라면 우왕 3년 서기로 1377년이었다.

박병선은 책 뒷장의 간기를 보고 발간 시기와 금속활자인 것은 알았지만 금속활자 인쇄본에 대해서는 아는 게 없어 직지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이라는 것은 알지 못했다. 자료를 더 찾아보니 1901년 모리스 쿠랑이 펴낸 ‘한국 서지’에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인쇄. 이것이 사실이라면 지금까지의 어떤 금속활자본보다 빠른 것’이라고 ‘직지’를 설명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순간 박병선의 뇌리를 스치고 지나간 것은 세계 최고(最古) 사실을 어떻게 증명해야 하나 하는 두려움이었다.

박병선은 10여통이 넘는 편지를 국내 전문가들에게 보내 물어봤지만 답이 없었다. 결국 박병선 홀로 미답지를 걸어야 했다. 박병선은 금속활자가 어떻게 생겼고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지를 먼저 알아보았다. 주물 공장을 찾아가 주물 작업을 지켜보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해 인쇄소에서 금속활자를 만드는 틀을 얻어다가 집에서 직접 만들어보기도 했다. 진흙, 지우개, 감자, 당근 등으로도 활자를 만들었다. 진흙으로 활자를 만들어 오븐으로 도자기를 굽던 어느날은 오븐이 과열되어 터지고 유리창이 깨지기도 했다. 박병선은 3년간의 실험을 통해 나무활자, 도자활자, 금속활자의 차이를 조금씩 알게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금속활자의 특징을 찾아내 직지가 금속활자 인쇄본이라는 것을 확신했다.

 

#직지 #직지심체요절 #금속활자 #세계최초 #플랑시 #파리만국박람회 #박병선 #조선왕조의궤

 

☞ 전문(全文)을 보시려면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