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리콴유(李光耀) 전 총리 탄생 100주년… ‘개발 독재’ 정치로 싱가포르를 강소국으로 우뚝 서게 한 ‘싱가포르의 국부(國父)’

↑ 리콴유

 

by 김지지

 

싱가포르는 서울보다 조금 큰 넓이의 도시 국가다. 그런데도 1인당 GDP(국내총생산)는 2022년 기준 8만 2000달러가 넘어 세계 5위에 랭크되어 있다. 당연히 아시아에서는 1위다. 이런 싱가포르의 오늘이 있게 한 주역은 ‘싱가포르의 국부(國父)’로 불리는 리콴유 전 총리다. 그는 영연방 자치령이던 1959년부터 31년간 총리로 재임하면서 서구식 자유민주주의를 따르지는 않았지만 부패를 일소하는 데는 철저했다. 무엇보다 실용성을 갖춘 정부 조직, 기업 친화적인 조세·고용 제도, 영어를 기반으로 한 이중 언어 정책, 항만·공항을 토대로 쌓은 물류 시스템 등으로 싱가포르를 ‘기업 국가’로 우뚝 서게 했다. 2023년 9월 16일은 리콴유 탄생 100년이 되는 날이다. 리콴유의 삶과 싱가포르의 역사를 알아본다.

 

독립, 국가 창업, 선진국 건설까지 성취한 전 세계 유일 정치인

전 세계 국가 중 독립과 국가 창업, 선진국 건설까지 성취한 정치인은 싱가포르의 리콴유(1923~2015) 전 총리가 유일하다. 이런 리콴유를 가리켜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는 “수에즈 운하 동쪽에서 가장 뛰어난 인물”이라고 평했고,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은 “시대가 인물을 만드는지, 인물이 시대를 만드는지의 오랜 의문에 후자라는 해답을 준 인물”이라고 극찬했다. 키신저는 리콴유를 지도자뿐 아니라 사상가로 표현하기도 했다.

싱가포르는 말레이반도 끝자락에 붙어 있는 작은 섬 나라다. 지정학적 위치 덕분에 예로부터 물건이 거래되고 사람과 돈이 모이는 자유무역항으로 유명했다. 1824년 말레이반도의 말라카·페낭과 함께 영국 동인도회사의 해협 식민지로 편입되고 1867년 영국의 직할 식민지가 되었다. 리콴유가 1923년 9월 16일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을 때도 영국의 식민지였다. 리콴유의 조상은 중국 광동성에서 이주한 화교 이민자였다. 빛(光)과 영리함(耀)이라는 의미의 이름을 가진 ‘李光耀(리콴유)’는 어린 시절부터 수재로 이름났다. 싱가포르의 명문 래플즈대에 수석 입학했으나 1941년 12월 일본군이 싱가포르를 점령하고 이 과정에서 싱가포르 내 중국 청년들을 대량학살하는 비극을 겪었다. 그런데도 리콴유는 일본군 정보부에서 번역 일을 하는 친일 행적을 보였다. 그는 훗날 자서전에서 고향을 짓밟은 일본군에 대해 진절머리를 내면서도 “생존이 우선”이라는 신념에 따른 것이었다고 해명하면서 일본 점령기 경험에 대해서는 “정부의 절대적 필요성을 깨달은 시기”라고 회고했다.

리콴유는 종전 후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 케임브리지대를 졸업하고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유학 시절 접했던 영국의 선진 문물과 학문 그리고 그 안에서 겪었던 아시아계 인종에 대한 차별 등의 경험은 “고향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만들어야겠다”는 신념을 갖게 했다. 리콴유는 1950년 싱가포르로 돌아와 노동전문변호사로 활동했다. 우체국 집배원과 전화 교환수 노조, 해군기지 파업 등에도 관여해 한동안 노동운동을 하는 ‘좌파’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녔다. 리콴유는 31살이던 1954년 10월 실용주의 정당인 인민행동당의 창당을 이끌면서 사무총장으로 활동했다. 1955년 4월 총선에선 싱가포르 최다 득표로 당선되어 차세대 정치인으로 부상했다. 리콴유는 합법의 테두리 안에서 영국 식민정부와 투쟁하는 한편 공산세력과도 맞서 싸웠다. 입법의회 전원을 선출하고 자치정부를 구성할 중대 선거인 1959년 5월 총선에서는 인민행동당이 총 51석 중 43석을 얻는 압승으로 집권당이 되었다. 리콴유는 36세 나이에 영연방 자치정부의 수반(총리)으로 취임했다.

 

#리콴유 #이광요 #싱가포르 #탄생 #개발독재 #부패 #박정희

 

☞ 전문(全文)을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