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안재홍… 일제 하에서 9차례(7년 3개월간)나 옥고 치르며 독립의 횃불을 밝혔던 참 언론인이면서 해방 후에는 좌우합작을 도모했던 현실 정치 지도자

↑ 세칭 ‘군관학교 학생 사건’으로 수감되었을 때 종로경찰서가 촬영한 사진(1936년 6월 23일)

 

by 김지지

 

안재홍은 일제하 민족 지사이자 역사학자였으며 언론인이었다. 해방 후에는 이상이 아닌 현실에 발을 딛고 좌우합작을 도모한 정치 지도자로 활동했다. 안재홍은 국학(國學)을 깊이 연구했지만 국수주의에 매몰되지 않고, 그의 호 ‘민세’가 의미하는 것처럼 ‘민족에서 세계로, 세계에서 민족으로’라는 ‘열린 민족주의’를 지향했다. 그의 동상이 2023년 5월 11일 그가 살던 서울 성북구 돈암동에 세워졌다. 신체 일부가 사라진 듯한 동상 모습은 6·25 때 북한으로 납치된 민세가 역사 속에서 조금씩 잊히는 안타까움을 나타낸 것이다.

 

일제 하에서 서슬 퍼런 논설로 일제의 간담을 서늘케 해

안재홍(1891~1965)은 경기도 평택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서당에서 공부하다 사마천의 ‘사기(史記)’를 읽고 감명받아 “조선의 사마천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이것은 그가 추구했던 국학과 역사학 연구의 시작점이 된다. 1910년 황성기독교청년회(YMCA 전신) 중학부를 거쳐 20살 때이던 1911년 일본 와세다대 정경학부에 입학했다. 유학 시절 조국의 독립운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중국으로 건너가 신규식 등 독립운동가들을 만났으나 경제적 토대가 없는 해외 운동보다는 국내 투쟁에 주력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을 하고 다시 도쿄로 돌아와 학업을 마쳤다.

1914년 귀국 후 중앙학교 학감, 중앙기독교청년회 교육부 간사 등으로 활동하던 중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났다. 안재홍은 1919년 6월 독립운동 비밀조직인 ‘대한민국청년외교단’ 총무를 맡아 상해 임시정부의 연통부 임무를 수행하다가 1919년 11월 일제에 체포되었다. 일제하 9차례에 걸친 7년 3개월 옥고의 시작이었다. 대한민국청년외교단은 1919년 4월경 상해에 있던 조용주(조소앙의 동생)와 연병호(1·2대 국회의원)가 임시정부를 지원하는 청년 단체를 국내에 만들기로 하면서 출발했다. 6월 초순 국내에 들어온 두 사람은 재력가 이병철과 명망가 안재홍을 총무로 영입했다. 연병호는 조직 정비와 확대 실무를 맡았고, 안재홍은 단체의 목적과 방향을 담은 강령 등을 작성했다. 청년외교단은 임정의 활동상을 알리는 한편 애국부인회 등 다른 독립운동 단체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졌다. 이들은 ‘배달청년단’으로 조직 확대를 추진하던 중 11월 말 일제 경찰에 발각되어 간부들이 체포됐다. 안재홍은 이 사건으로 1919년 11월부터 30개월간 첫 옥고를 치른 후 1922년 6월 만기 출옥했다.

안재홍은 1924년 5월 최남선이 주도하는 시대일보에 논설기자로 입사해 언론계와 첫 인연을 맺었다. 1924년 9월에는 조선일보 주필로 입사해 본격적으로 언론인의 길을 걸었다. 이후 조선일보의 발행인과 부사장, 사장을 거치는 동안 조선의 민족정신을 일깨우는 서슬 퍼런 논설로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 안재홍은 사설과 시평을 쓰면서도 1927년 신간회 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좌우 합작 독립운동 단체로서 회원 수가 3만~4만명에 이르렀던 신간회에서 민세는 총무간사를 맡았다.

 

#안재홍 #언론인 #독립운동가 #좌우합작운동 #조선일보 #조선학 #남조선과도입법위원 #역사학자

 

☞ 전문(全文)을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