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한말(韓末)의 중심지역인 ‘정동(貞洞)’을 근대 역사의 상징 공간으로 재조성한다는데… 당시 정동은 열강 외교의 거점, 근대적 의료·교육의 산실, 신문화의 요람, 개신교 포교의 출발지였다
↑ 하늘에서 촬영한 정동 일대. 덕수궁(중앙) 석조전 왼쪽 하단에 미 대사관저가 있고 그 바로 아래에 중명전과 예원학교가 보인다. 덕수궁 왼쪽 숲 옆에 덕수초등학교와 영국 […]
↑ 하늘에서 촬영한 정동 일대. 덕수궁(중앙) 석조전 왼쪽 하단에 미 대사관저가 있고 그 바로 아래에 중명전과 예원학교가 보인다. 덕수궁 왼쪽 숲 옆에 덕수초등학교와 영국 […]
↑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있는 홍난파 by 김지지 난파 홍영후(1898~1941)가 ‘봉선화’를 작곡한 지 어느덧 100년이 흘렀다. 홍난파가 처음 ‘봉선화’의 원곡인 ‘애수’를 바이올린곡으로 작곡한 […]
↑ 평양에서 연설하고 있는 임수경 by 김지지 외교부는 1994년부터 매년 30년이 경과된 기밀문서를 공개해왔다. 국민 알 권리를 위해 일부 극비 문서를 제외하고 한·일 […]
↑ 버니걸(bunny girl)들에 둘러싸여 있는 휴 헤프너 by 김지지 미국의 유명 성인잡지 ‘플레이보이’가 “2020년 봄호가 마지막 인쇄판이 될 것”이라고 최근 밝힘으로써 67년만에 인쇄판 […]
↑ 나혜석과 김우영의 결혼 모습(1920년 4월 10일 서울 정동교회) ☞ [연인과 부부] 시리즈 전체가 궁금하다면 클릭!! by 김지지 시대를 너무 앞질러 […]
↑ 1970년 4월 3일 요도호 납치 범인들이 평양으로 향하기 전 김포공항에서 승객들을 풀어주고 있는 모습. by 김지지 일본 적군파의 결성 배경 일본의 […]
↑ 에어푸르트 역에서 분단 후 처음 만나 악수하는 동서독 정상. 빌리 브란트 서독 총리(오른쪽)와 빌리 슈토프 동독 총리 by 김지지 1969년 브란트의 […]
↑ 1922년 1월 모스크바 극동인민대표자회의에 참석한 홍범도 장군(왼쪽)과 최진동 장군이 대회장 밖에서 만나 환담을 나누고 있다. 홍범도가 차고 있는 권총은 레닌에게서 받은 선물로 알려져 […]
↑ ‘마니 풀리테’ 운동의 주역들. 왼쪽부터 피에트로와 콜롬보 검사, 보렐리 치안판사 ☞ [‘살아있는 권력’에 맞섰던 검찰들] 시리즈(전3회)가 궁금하면 클릭!! by 김지지 ▲이탈리아 전후(戰後) […]
↑ ‘비밀해제 : 록히드 사건’ 책 표지(출처 암파서점) ☞ [‘살아있는 권력’에 맞섰던 검찰들] 시리즈(전3회)가 궁금하면 클릭!! by 김지지 미국에서 먼저 밝혀진 ‘록히드 […]
↑ 세 자매. 왼쪽부터 송미령, 송애령, 송경령 ☞ [연인과 부부] 시리즈 전체가 궁금하다면 클릭!! by 김지지 송씨 세 자매의 아버지 송가수는 […]
↑ 왼쪽부터 최대교 서울지검장, 임영신 상공장관, 이승만 대통령 ☞ [‘살아있는 권력’에 맞섰던 검찰들] 시리즈가 궁금하면 클릭!! by 김지지 70년 전 최대교 […]
↑ 이집트 콤 옴보 신전 벽에 그려진 고대 이집트 달력 by 김지지 ■고대 이집트 달력 고대 이집트인들이 처음 사용한 달력은 태음력이었다. 당시 […]
↑ 1970년대 초반, 제3한강교 다리 위를 달리는 자동차들. 멀리 남산타워와 외인아파트(1994년 11월 철거)가 보인다. by 김지지 제3한강교를 세운 이유는 서울 인구의 강남 […]
↑ 젊은 시절의 백건우와 윤정희 ☞ [연인과 부부] 시리즈 전체가 궁금하다면 클릭!! by 김지지 백건우, 세계적 지휘자 레너드 번스타인의 후원 덕에 […]
↑ 장한나 (출처 트론헤임 심포니 오케스트라 홈페이지) by 김지지 1994년 열두 살에 로스트로포비치 첼로 콩쿠르에서 우승, 신동(神童)으로 이름 날렸던 장한나(1982~ )가 자신의 […]
↑ 김일성이 정전협정을 체결한 다음날인 1953년 7월 28일 평양의 군중대회에서 전승축하연설을 하고 있다. ☞ [연인과 부부] 시리즈 전체가 궁금하다면 클릭!! by 김지지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초기 내각 구성원들. 제1열 왼쪽부터 정준택(국가계획위원장), 김책(부수상 겸 산업상), 홍명희(부수상), 김일성(수상), 박헌영(부수상 겸 외무상), 최용건(민족보위상), 허정숙(문화선전상), 제2열 왼쪽부터 이영남(보건상), 김원봉(국가검열상), 백남운(교육상), 주녕하(교통상), […]
↑ 홍위병들이 씌운 얼간이 모자를 뒤집어쓰고 모욕을 당하고 있는 관료들 by 김지지 1966년 8월의 군중대회는 중국 전역을 휩쓸고 갈 광기의 신호탄 1966년 8월 […]
↑ 1949년 10월 1일 모택동이 북경의 천안문 성루 누상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하고 있다. by 金知知 중국이 건국 70주년 기념일인 10월 1일 역대 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