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쇼를 아시나요… 어머니·아내·며느리가 일본인인데도 31년간 조선의 독립운동 지원한 義人이랍니다
↑ 조지 루이스 쇼와 그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는 동아일보 기사(1920년 8월 11일) by 김지지 국가보훈처가 호주에 사는 조지 루이스 쇼 선생의 외증손녀 […]
↑ 조지 루이스 쇼와 그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는 동아일보 기사(1920년 8월 11일) by 김지지 국가보훈처가 호주에 사는 조지 루이스 쇼 선생의 외증손녀 […]
↑ 전시회를 알리는 갤러리현대 건물 by 김지지 ■<청전·소정 展>의 성공적 감상을 위한 워밍업 2019년 4월 <한국화의 두 거장 청전(靑田)·소정(小亭)>전이 서울의 갤러리현대와 현대화랑에서 열린다는 […]
↑ 이상범 그림을 전시하고 있는 현대화랑 내부 by 김지지 ■이상범의 작품과 삶 ▲현대화랑에서 만난 이상범의 작품… 편안하고 푸근 이상범의 작품은 갤러리현대에서 […]
↑ 주미공사 관리들. 앞줄 왼쪽부터 이상재, 이완용, 박정양, 이하영, 이채연이고 뒷줄은 수행원들이다.(1887년) by 김지지 김병익 전 문학과지성사 대표가 계간지 ‘본질과 현상’ 2019년 […]
↑ 데사우 시절의 바우하우스 교사(校舍). 1925~1926년 지어졌다. by 김지지 바우하우스 탄생 100주년을 맞아 독일은 지금 ‘바우하우스 축제 중’이다. 600여 개의 기념 행사가 […]
↑ 지난 3월 16일 방송된 KBS1 TV ‘도올아인 오방간다’에서 신탁통치반대운동에 대해 강연하는 도올 김용옥 (출처 KBS 홈페이지) by 김지지 김용옥 한신대 석좌교수가 […]
↑ 카를 마르크스(57살 때)와 그의 아내 예니 폰 베스트팔렌(22살 때) ☞ [연인과 부부] 시리즈 전체가 궁금하다면 클릭!! by 김지지 19세기 초, […]
↑ 링컨이 노예해방선언서에 서명할 때 모습 그림 (1863년 1월 1일) by 김지지 미국의 남북전쟁은 노예제도의 존속과 폐지를 둘러싸고 시작된 남과 북의 갈등이 마침내 […]
↑ 노예해방 선언 후 조직된 흑인부대 by 김지지 링컨은 실행 가능성을 우선한 현실주의 정치가 내연하던 전쟁은 링컨이 취임하고 한 달여 만인 1861년 […]
by 김지지 최근 파키스탄에 기지를 둔 테러집단이 카슈미르 지역에서 자행한 폭탄 테러로 인도 경찰 41명이 숨졌다. 이 때문에 오랜 적대 관계에 있는 인도와 파키스탄 […]
↑ 유일한과 중국계 아내 호미리 by 김지지 문재인 대통령이 1월 21일 경기도 부천에 소재한 유한대의 졸업식에 참석했다. 유한대는 설립자 유일한 박사의 교육철학에 […]
☞ [연인과 부부] 시리즈 전체가 궁금하다면 클릭!! by 김지지 “결혼도 하지 않고 자식도 낳지 않고 서로에게 완벽한 자유를 허용하자” 장폴 사르트르(1905~1980)와 시몬 […]
↑ 운림산방 전경. 운림지 한복판의 작은 섬에 소치 허련이 직접 심은 배롱나무가 보인다. 건물 뒤 산은 첨찰산이다. 전형적인 흙산으로 숲이 무성하고 걷는게 편하다. by 김지지 […]
by 김지지 국가보훈처가 2019년 김원봉에게 건국훈장 서훈을 검토하다 중단했다. 독립운동가이지만 북한 초대 내각에서 국가검열상을 지냈고 6·25전쟁 공로로 김일성에게 훈장까지 받은 사람이 어떻게 대한민국 […]
by 김지지 서울 성북구가 2월 27일 기존 ‘인촌로’ 도로명판을 철거하고 ‘고려대로’로 교체했다. 인촌로는 지하철 6호선 보문역부터 고대 앞 사거리까지 1.2㎞에 걸친 도로다. 지난 […]
↑ 유엔군 포로들이 남측지역으로 송환되는 모습 by 김지지 6·25 정전 협정 직후인 1953년 8월 유엔군사령부는 북한군·중국군에 포로가 되거나 전투 도중 실종된 국군이 […]
“이 늙은이들 다 죽기 전에 하루 빨리사죄하라! 알겠는가 (일본) 대사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1000번째 수요집회가 열린 2011년 12월 14일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
by 김지지 김동인 덕분에 한국 문학이 한 단계 발전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 김동인(1900~1951)이 스스로 밝힌 바에 따르면 그가 한국 문학사에 끼친 공로는 […]
by 김지지 100년 전 3·1운동을 촉발했던 일본 도쿄 2·8독립선언의 산실인 도쿄 재일본 한국 YMCA가 자료실 재개관과 기념 영상물 제작 등을 위해 일본에서 1000만엔(약 […]
↑ 로자 룩셈부르크 by 김지지 “마르크스 이후 가장 뛰어난 두뇌”, “강철 같은 여성 혁명 투사”, “피에 굶주린 로자” 등등…. 로자 룩셈부르크(1871~1919)를 가리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