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위안부 증언’ 김복동 할머니 별세를 계기로 돌아본 야만의 기록

“이 늙은이들 다 죽기 전에 하루 빨리사죄하라! 알겠는가 (일본) 대사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1000번째 수요집회가 열린 2011년 12월 14일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 김복동 할머니는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이렇게 촉구했다. 또 “우리가 나이가 들어서 오늘내일이 바쁘다”며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하지만 김 할머니는 끝내 사과를 받지 못한 채 28일 오후 10시 41분 숨을 거뒀다. 향년 93세. 위안부 피해자의 상징이었던 그는 눈을 감기 다섯 시간 전쯤 “끝까지 싸워 달라”는 말을 남겼다고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대표가 전했다. 앞서 같은 날 오전 또 다른 위안부 피해자 이모 할머니가 향년 94세로 별세했다. 29일 현재 정부 등록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23명뿐이다. (동아일보 2019년 1월 30일)

 

형식적으로는 민간 업자가 경영했지만 일본군이 직접 관리·통제

일본군 위안소의 존재가 처음 확인된 것은 1932년 1월 일본이 제1차 상해사변을 일으켰을 때 일본의 상해 총영사관에서 발행한 문서를 통해서였다. 그 후 위안소는 1937년 12월 자행된 일본군의 남경대학살 후 본격적으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남경대학살 때 저지른 일본군 병사들의 강간 만행으로 중국인들의 반일 감정이 극도로 험악해지고, 일본에서도 위안부 대량 모집이 사회문제로 비화하자 군부와 민간업자들이 식민지 조선으로 눈을 돌린 것이 조선 여성 위안부 강제 동원의 시작이었다.

초기의 위안부 모집은 주로 유곽 주인이나 업자에게 의존했다. 하지만 일본군의 전선이 점차 확대되어 업자를 통한 모집 방식만으로는 위안부 수요를 충당할 수 없게 되자 일본 경찰을 비롯해 총독부 산하 일선 행정관리가 나서 조선 여성을 강제 동원했다.

일제가 조선 여성들을 위안부로 끌고 가는 데 동원한 초기 수법은 ‘정신대 모집’이었다. ‘정신대’는 일제가 군수공장 등에 일본과 조선의 여성 인력을 동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한 ‘여자근로정신대’를 가리키는 말이다. ‘몸을 바쳐 일하는 대원’이란 뜻에서 알 수 있듯 명칭의 본래 취지는 위안부가 아니었다. 일제는 정신대를 모집하면서 강제적으로 동원하기보다 “공장에 취업시켜 주겠다”, “좋은 돈벌이를 시켜 주겠다”는 등의 감언이설로 조선 처녀들을 꼬드기는 수법을 사용했다.

문제는 이렇게 끌려간 여성들이 탄광, 공장 등에 투입되기도 했지만 일부 여성이 일본군과 총독부 관리들의 사기, 납치, 유괴 등에 의해 군 위안부로 넘겨졌다는 것이다. 위안부들은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 일본군 주둔 지역으로 수송되어 일본군이 관리·운영하는 위안소에 배치되었다. 이 과정에서 총독부는 여행증명서를 발급해주고 일본군은 수송 수단을 제공했다. 이렇게 끌려간 위안부 여성들은 사실상 성노예 취급을 받았다. 거부할 수도 외출할 수도 없었다.

위안부로 끌려간 여성들은 1945년 8월 일제가 패망한 후에도 고통과 질곡의 삶을 살았다. 일본의 패전 후 현지에 버려져 질병과 굶주림으로 죽거나 일본군 위안부라는 이유로 현지 주민들에게 비참하게 죽임을 당하는 여성들도 있었다. 살아남은 경우도 우리 사회의 순결 집착증 때문에 ‘몸을 망친 여자’라는 죄인 아닌 죄인이 되어 고향에 돌아오지 못하고 타향을 전전했다. 고향에 와서도 자신의 고통을 숨긴 채 홀몸으로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위안부 #윤정옥 #종군위안부 #정신대 #고노담화 #정대협 #정의기억연대 #배봉기 #강제동원 #김학순

 

☞ 전문(全文)을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