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봉오동 전투의 주역’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카자흐스탄에서 국내로 봉환된다는데… 그는 이국 땅에서 풍찬노숙하며 일본군과 무력투쟁을 벌였던 ‘게릴라전의 비조’였다

↑ 1922년 1월 모스크바 극동인민대표자회의에 참석한 홍범도 장군(왼쪽)과 최진동 장군이 대회장 밖에서 만나 환담을 나누고 있다. 홍범도가 차고 있는 권총은 레닌에게서 받은 선물로 알려져 있다.

 

by 김지지

 

문재인 대통령이 2020년 3월 1일 서울 배화여고에서 열린 101주년 3·1절 기념사를 통해 청산리 전투와 함께 항일 무장독립운동사의 대표적 전승(戰勝)으로 꼽히는 봉오동 전투를 승리로 이끈 홍범도 장군의 유해를 국내로 봉환해 안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유해는 2021년 8월 15일 국내로 봉환되어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항일운동에 뛰어든 것은 갑오동학혁명과 명성황후 시해 사건 이후

홍범도(1868~1943)를 이해하려면 그에 대한 제3자의 기록이 없어 ‘홍범도 일지’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또 하나 문제는 홍범도가 직접 작성했다는 ‘친필 일지’가 남아 있지 않고 필사본만 전해지고 있어 이마저도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홍범도 일지’ 필사본에 따르면, 홍범도는 평남 평양에서 머슴의 아들로 태어났다. 7일 만에 어머니가 죽고 8세 때 아버지마저 세상을 떠나 가난이 대물림되었다. 머슴살이, 막일꾼 등 닥치는 대로 일을 하다가 잠시 절에 들어가 간단한 한자와 한글을 깨우쳤다.

홍범도를 항일운동에 뛰어들게 한 것은 갑오동학혁명과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었다. 이를 계기로 1895년 11월 강원도 회양과 김화의 경계 고개인 단발령에서 봉기하고 일본군 10여 명을 습격해 무기를 획득한 뒤 포수와 빈농 40여 명으로 의병 부대를 조직했다. 그 후 함경도 안변으로 이동, 북상하던 유인석 의병 부대와 연합해 일본군과 수 차례 전투를 벌였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진 못했다. 이후 은신할 목적으로 산포수 생활을 하면서도 의병대 활동을 이어갔다. 1904년 가을에는 함남 북청의 일진회 사무실을 습격해 30여 명을 척살했다.

 

신출귀몰하는 게릴라전의 비조

망국적 상황에서 포수들의 반일 의식을 부채질한 것은 1907년 9월 일제가 공포한 ‘총포 및 화약류 단속법’의 강제 시행이었다. 단속법은 총으로 먹고 살아야 하는 산포수들의 생존을 위협했다. 홍범도는 1907년 11월 산포수, 화전 농민, 광산 노동자, 해산군인 등 70여 명을 모아 항일 의병전에 나섰다.

홍범도군은 신출귀몰하는 게릴라전의 비조였다. 1907년 11월 함남 후치령을 시작으로 함경도 삼수·갑산과 운파령 등에서 일제의 군경과 수십 차례 격전을 벌여 큰 전과를 올렸다. 당시 함경도 사람들 사이에는 ‘홍대장 가는 길에 일월이 명랑한데 왜적 군대 가는 길엔 비가 내린다’는 내용의 ‘날으는 홍범도가’가 유행했다. 하지만 일제의 대대적인 토벌에 밀려 국내 활동이 어려워지자 1908년 11월 러시아령 연해주로 망명했다. 그곳에서 국내 진공작전을 펼치고 13도의군에 참여했다. 13도의군은 의병 지도자들이 연해주와 북간도 일대의 의병을 하나의 군단으로 통합하고 작전과 지휘를 단일 계통으로 통일하기 위해 1910년 6월 우수리스크 부근의 추풍에서 결성되었다. 홍범도는 함경도의 무산, 갑산, 종성 등으로 진공해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동지 대부분이 체포되자 홀로 블라디보스토크로 돌아왔다. 일제는 홍범도를 체포하기 위해 아내와 큰아들을 인질로 삼았으나 홍범도가 꿈쩍도 하지 않자 부인과 아들을 살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홍범도 #코민테른 #자유시참변 #봉오동전투 #청산리전투 #김좌진 #홍범도일지 #게릴라전

 

☞ 전문(全文)을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