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종전 후 남북한 거부하고 중립국 선택한 현동화의 죽음을 계기로 살펴본 중립국행 전쟁 포로들의 실태
↑ 인도를 선택한 포로들이 ‘아스토리아호’ 선상에서 기념촬영했다. by 김지지 최인훈의 소설 ‘광장’ 속 주인공의 실제 모델로 알려진 현동화씨가 향년 89세로 최근 별세했다. […]
↑ 인도를 선택한 포로들이 ‘아스토리아호’ 선상에서 기념촬영했다. by 김지지 최인훈의 소설 ‘광장’ 속 주인공의 실제 모델로 알려진 현동화씨가 향년 89세로 최근 별세했다. […]
↑ 백선엽 제1사단장이 평양 입성 후 미 공군장교와 작전을 논의하고 있다.(1950.10.19) by 김지지 과거 정부 때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하기로 했던 백선엽 예비역 대장의 묏자리가 국립대전현충원 […]
↑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휴전협정 조인식 모습. 왼쪽이 유엔군 수석대표 윌리엄 해리슨 중장이고 오른쪽이 공산군 수석대표 남일 대장이다. by 김지지 […]
↑ 거제도 포로수용소로 이송돼 온 공산당 포로들 by 김지지 ⑦ 중공군·북한군의 총공세와 1·4 후퇴 중공군·북한군의 총공세로 우리 정부 다시 부산으로 후퇴 […]
↑ 중국군이 6·25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눈으로 덮인 압록강을 건너고 있다. by 김지지 ⑤ 국군·유엔군의 38선 돌파와 중공군 참전 ‘국군의 날’은 국군이 38선을 […]
↑ 맥아더 유엔군사령관이 미 해군 상륙지휘함 마운트 맥킨리 호 함상에서 인천상륙작전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by 김지지 ③ 워커 라인 설정과 다부동 전투 […]
↑ 서울로 진입한 인민군이 시내를 행진하고 있다. by 김지지 ① 6·25전쟁 발발 부슬비가 내리고 있던 새벽, 38선 인근의 한국군 부대 막사 위로 […]
↑ 유엔군 포로들이 남측지역으로 송환되는 모습 by 김지지 6·25 정전 협정 직후인 1953년 8월 유엔군사령부는 북한군·중국군에 포로가 되거나 전투 도중 실종된 국군이 […]
휴전협정은 765차례의 산고 끝에 이뤄진 결실 6·25전쟁 휴전 논의는 중공군이 서울을 점령하고 한강을 건너 파죽지세로 수원까지 장악한 1951년 1월 영국, 캐나다, 인도 등이 ‘현위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