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

오다 노부나가, ‘혼노지의 변’ 당해 할복 자살

↑ 오다 노부나가가 부하 장수 아키치 미쓰히데의 습격을 받는 모습. 메이지 시대 그림이다. (출처 위키피디아)

 

“손 안에 있는 새가 울지 않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 일본 전국시대를 호령하던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세 사람에게 던져진 이 질문은 우리에게도 익숙하다. 각각 2살, 6살 밖에 차이 나지 않는 동시대 사람이었던 세 사람은 이 질문에 대해 각기 다르게 대답해 셋의 성격을 비교하는데 종종 인용되곤 한다.

시대 배경은 이랬다. 오다가 활동하던 시대는 쇼군(將軍)이 천황을 제치고 실권을 장악한 시기를 말하는 막부(幕府)시대였다. 쇼군은 지방마다 다이묘(大名)를 임명해 전국을 통치했다. 오다는 하늘을 찌를듯하던 쇼군의 지위가 약화될 대로 약화된 무로마치 막부 말기에 등장했던 유력 다이묘의 한 사람이다. 약 1세기 동안 펼쳐졌던 약육강식의 그 시대를 일본에서는 ‘전국시대’라고 부른다. 쇼군의 권위가 무너진 군웅할거 시대인 틈을 타 지방의 다이묘들과 사무라이들은 힘에 의한 영토 전쟁에 뛰어들었다. 이때 천하를 넘보며 등장한 이가 오다 노부나가였다.

그는 중세적 질서를 철저하게 파괴한 풍운아였고 전쟁의 천재였다. 무로마치 막부를 멸망시킨 것도 오다였고 조총을 조직적으로 전쟁에 사용한 것도 오다가 처음이었다. 조총의 위력은 중세 일본의 전술에 혁명적인 변화를 불러왔다. 즉 조총전술은 용맹한 장군을 중심으로 긴 창과 기마군으로 싸워온 고전적인 전투 양상이 보병부대에 의한 조직적인 총격전으로 변화하는 계기가 됐다. 오다는 점차 전국시대의 혼란을 잠재우며 천하통일의 기초를 닦아 나갔다.

그러나 1582년 6월 2일 천하통일을 목전에 둔 상태에서 묶고 있던 혼노지(本能寺)에서 그를 배신한 부하 아케치 미쓰히데의 습격을 받아 “가이샤쿠(할복할 때 옆에서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목을 침)를 부탁한다”며 스스로 할복함으로써 파란만장한 시대를 마감했다. 지금도 일본인들이 불의의 타격을 입을 때 “내 적은 바로 혼노지에 있다”고 하는 것도 이 ‘혼노지의 변’에 연유한다. 카이사르가 부르투스에게 피살되면서 “부르투스 너마저?”라고 했던 것의 일본판인 셈이다.  오다를 살해한 아케치 미쓰히데는 오다의 또 다른 부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토벌되어 일본은 도요토미 수중에 떨어진다.

그러나 도요토미는 임진왜란이 아직 끝나지 않은 1598년 병상에 누웠다. 그가 죽음을 앞두고 가장 신경을 쓴 것은 56세 나이에 얻은 6살짜리 아들의 장래였다. 도요토미는 아들의 기반구축을 위해 아들이 태어나기 전에 양자로 맞아들인 조카을 할복시키고 그의 가족까지 살해했다. 죽음에 임박해 도요토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포함해 5명의 최고 대신들을 불러놓고 “아들을 부탁한다”며 눈을 감았지만 지켜질 수 없는 당부였다. 도요토미의 유언을 받들기에는 도쿠가와의 야망이 너무 컸던 것이다.

도쿠가와에게 도요토미의 죽음은 대권을 장악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요토미의 추종 세력들을 격파함으로써 일본 열도는 비로소 도쿠가와 손에 들어갔다. 1603년 쇼군에 오른 도쿠가와는 교토를 떠나 에도(도쿄)로 근거지를 옮겼다. 메이지유신으로 막을 내릴 때까지 260년 동안 이어질 ‘에도막부 시대’의 문을 열어젖힌 것이다. 오다가 열심히 농사를 짓고 도요토미가 맛있게 밥을 지어놓으니 밥상을 통째로 먹은이가 도쿠가와라는 비유가 일본에 전해진다.

 

☞ ‘혼노지의 변’ 다른 글이 궁금하다면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