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공화국의 버팀목이었던 자유당이 1951년 12월23일 임시수도 부산에서 창당됐다. 하지만 각기 다른 장소에서 두 개의 자유당이 동시에 출범, 시작부터가 파행이었다. 공화민정회가 중심이 된 ‘원내(院內) 자유당’이 국회의사당에서, 이범석의 족청계를 중심으로 한 ‘원외(院外) 자유당’이 부산 동아극장에서 창당대회를 열어 이승만 대통령을 각각 의장과 당수로 내세우자, 속사정을 모르는 사람들은 그저 어리둥절할 뿐이었다.
이들의 분열은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맹목적인 충성심과 서로 다른 정치적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비롯됐다. 평소 자신은 전국민의 지도자이지 특정정파의 지도자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해 온 이승만 대통령이 생각을 바꿔 신당을 구상한 이유는 기존의 의석분포로는 재선이 힘들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승만 대통령이 신당창당을 시사하자 친(親)이승만 세력인 원내의 공화민정회와 대한청년단, 국민회 등 5개 단체 대표들과 이범석의 족청계를 중심으로 한 원외파가 모여 창당준비위를 구성했다.
하지만 발기과정에서부터 삐걱거려 창당이 난항을 겪고있을 때 대통령직선제와 양원제를 골자로 한 이 대통령의 헌법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내각제를 선호하는 원내파가 반대하자 이 대통령은 원외파를 중심축으로 개헌작업을 추진했다. 개헌안이 야당인 민국당의 방해로 부결되자 이승만은 이른바 ‘부산정치파동’을 일으키며 살벌한 분위기 속에서 7월 4일 발췌개헌안을 통과시켰다. 원외 자유당은 이승만의 지원을 받아 원내파를 흡수, 단일 정당으로 발돋움하지만, 정치파동의 한 주역이었던 이범석은 자유당에서 축출돼 토사구팽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