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

유럽 최고 명가 합스부르크가(家) 몰락

20세기 초까지 유럽 최고의 명가를 꼽으라면 단연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가(家)이다. 그러나 1차대전이 이 가문에 치명타를 날렸다. 오스트리아가 패전국이 됐으니 오스트리아를 이끌어온 합스부르크가에 불똥이 튀는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1918년 11월 11일 독일의 항복과 함께 오스트리아의 카를1세가 왕위에서 물러나고 이튿날 공화국이 수립됨으로써 합스부르크가는 오스트리아 제국과 함께 역사 저편으로 사라졌다. 더구나 1919년 4월 3일 공화국 의회가 ‘가계(家系)와 절연하고 왕권·재산권을 포기하는 서약서에 서명하지 않는 한 합스부르크 일족의 입국은 허가하지 않는다’는 ‘황제일족 추방법’(일명 합스부르크법)까지 제정함으로써 합스부르크가는 더 이상 오스트리아에 발을 붙일 수 없게 됐다.

연합국도 1919년 9월 10일 오스트리아와 체결한 ‘생 제르맹 조약’을 통해 오스트리아와 독일의 합병을 거부하고, 체코슬로바키아·폴란드·유고슬라비아의 독립을 허용함으로써 제국 해체에 쐐기를 박았다.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도 각각의 공화국으로 분리돼 646년 간 유럽을 호령해온 거대 제국은 뿔뿔이 흩어졌다.

1273년 이 가문에서 첫 독일왕이 나오고 1452년 신성로마제국 황제까지 겸함으로써 합스부르크가의 위세는 하늘을 찌를 듯 했다. 한때 오스트리아·독일·스페인·네덜란드·체코·헝가리까지 영토를 확장했던 이 가문의 최전성기는 순전히 혼인정책만으로 제국의 영토를 넓혀나간 막시밀리안 1세(1459∼1519)가 열었다. 그는 부르고뉴 공국의 상속녀와 결혼해 네덜란드를 손에 넣고는 아들을 스페인의 후아나 공주에게 장가보내 스페인과도 인연을 맺었다. 혜안인지 행운인지 후아나의 형제들이 잇따라 죽고 후아나도 정신이 오락가락하는 바람에 졸지에 스페인은 그녀의 아들이자 막시밀리안의 손자 카를 5세(스페인의 카를로스 1세)의 차지가 됐다. 막시밀리안은 손자에게 혼인관계로 얻은 보헤미아(체코)와 헝가리까지 유산으로 물려주고 죽어 카를 5세는 ‘해가 지지 않는 대제국’의 수장이 됐다. 그러나 점차 스페인과 네덜란드가 제국에서 떨어져 나가고 프랑스, 프로이센 등이 강대국으로 부상하면서 가문의 쇠락은 불가피했다. 마지막 영토 오스트리아마저 1차대전에서 패하면서 몰락은 확정적이었다.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합스부르크가(家)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