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

한국노동운동사상 최대규모의 ‘9월 총파업’ 전국으로 확대

1946년, 광복 후 조선공산당의 활동을 주시해오던 미군정이 마침내 칼을 빼들었다. 위조지폐를 발행해온 조선정판사 급습(1946년 5월 7일)을 신호탄으로 해방일보를 폐간하고 공산당 간부들을 검거하기 시작한 것이다. 미군정의 강경책에 조선공산당도 폭력에 호소하는 새로운 전술을 들고나왔다. “테러는 테러, 피는 피로 갚자”는 ‘신전술’이었다. 전평(全評·전국노동조합전국평의회)을 전면에 내세워 총파업을 준비하던 중 10월로 예정된 총파업이 갑자기 9월로 앞당겨졌다. 미군정 운수부가 적자 타개와 노동자 관리의 합리화를 내세워 운수부 종업원의 25% 감원과월급제를 일급제로 바꾼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좌익계 신문 3개가 포고령 위반혐의로 정간되고 박헌영에게 체포령이 떨어진 것도 파업에는 좋은 구실이 됐다.

9월 16일, 철도 노동자들이 미군정 철도 당국에 6개 조항의 요구조건을 제시하고 일주일 간의 시한부 총파업을 통보했으나 미군정이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자 9월 23일 7000여 명 부산 노동자들의 파업을 시작으로 9월 24일부터 총파업이 전국으로 확대됐다. 광복 후 최초이면서 한국노동운동사상 최대규모의 ‘9월 총파업’이 시작된 것이다.

서울지역 노동자 3700여 명을 포함, 전국 철도노동조합 18개 지부 4만 명이 파업에 참가해 전국의 수송망이 마비되고, 은행·병원·미군정청으로까지 동정파업이 확대됐으나 9월 30일 새벽2시, 경찰과 애국청년단 등이 파업현장을 급습해 1700여 명의 파업 가담자들을 검거함으로써 총파업은 중대한 고비를 넘길수 있었다. 그러나 10월 1일 대구에서 불을 지핀 ‘10월 폭동’으로 전국은 또다시 혼란에 빠져들었다. 어차피 한번은 겪어야 할 진통이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