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

이승만 대통령 반공포로 석방

1951년 7월 시작된 휴전협상의 최대 걸림돌은 포로송환문제였다. 유엔군 측의 자유송환론과 공산군 측의 강제송환론이 팽팽히 맞섰기 때문이다. 1953년 6월 8일, 유엔군·공산군 양측의 포로송환문제가 2년만에 타결됐다. 조속한 종전을 원했던 유엔군 측이 공산군 측의 제안을 상당부분 수용한 것이 돌파구를 마련했다. 휴전이 성립된 뒤 2개월 안으로 송환을 희망하는 포로들을 맞바꾸는 한편 송환을 거부하는 포로들은 체코·폴란드·인도 등 5개국으로 구성된 ‘중립국송환위원회’가 4개월 동안 이들의 귀환을 설득한다는 것이 주요내용이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휴전협상 자체를 맹렬히 반대해온 우리 정부와 국민들의 분노는 절정에 달했다. 송환위원회가 친공적인데다 반공포로들이 6개월 동안이나 이들의 설득 공작을 받아야했기 때문이다. 6월 18일 새벽2시, 미군이 경비중인 부산·대구·광주·논산 등 포로수용소의 전원이 끊기고 철조망이 뚫렸다. 유례가 없는 반공포로들의 대탈출이 시작된 것이다. 세계는 이승만 대통령의 이 대담한 조치에 경악을 금치못했다. 미군이 탱크와 헬기까지 동원했지만 주민들이 이들에게 옷을 갈아 입히고 침식을 제공하며 돕는 데는 당해낼 재간이 없었다. 3만 5600여 명의 반공포로들 가운데 자유를 찾은 포로가 2만 7400여명이나 됐다. 그러나 8000여 명은 실패해 다시 철조망 신세를 져야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