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

연합국, 2차대전 패전국 일본과 대일평화조약 조인

2차대전이 끝났어도 중국이 공산화되고 한국에서 전쟁이 발발하는 등 동아시아 정세는 격변하고 있었다. 미국은 점령지 일본을 반공 거점으로 삼아 소련·중국에 대항할 반공벨트 구축에 나섰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일본을 하루속히 전범국의 족쇄에서 풀어주어야했다. 경제 재건이 절실했던 일본 역시 강화(講和·조약을 맺어 평화로운 상태로 되돌아 가는 것)가 필요했다.

이같은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물린 덕에 1951년 9월 8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오페라하우스에서 대일평화조약이 조인되었다. 55개국에 회의 초청장이 발송됐으나 유고, 버마, 인도가 불참해 52개국만이 참석하고 소련, 폴란드, 체코가 조인식에 참석하지 않아 결국 일본을 포함 49개국이 조약안에 서명했다. 중국은 국민당 정부와 중화인민공화국 간에 대표권을 둘러싼 싸움으로 초청받지 못했고, 한국은 미국의 주장에도 한국을 연합국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일본과 영국의 반대로 초청받지 못했다.

결국 강화조약은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중국과 35년 동안 일본의 식민통치 하에 있었던 한국이 배제되어 기형적인 평화조약이 됐다. 그날 미·일 양국은 별도의 미일안전보장조약에도 서명함으로써 일본은 자연스럽게 오키나와를 중심으로 미국이 주도하는 태평양 반공군사동맹에 편입됐다.

일본 중의원(10월 26일)과 미 상원(1952년 3월 20일)이 대일평화조약 비준안을 승인함으로써 일본은 비로소 승전국·패전국 관계에서 벗어나 동반자 관계로 전환할 수 있었다. 4월 28일 조약의 정식 발효와 함께 일본은 6년 8개월만에 연합국의 군사점령에서 벗어나 자유주의 진영의 일원이자 주권국가로 국제사회에 복귀했다. 그러나 쿠릴열도, 남사할린 등은 그들의 영토에서 제외되어야 했고, 오키나와는 미국의 군사점령지로 계속 남아야했다. 대신 일본은 안보를 미국에 맡긴 채 경제발전에만 매달려 기적적인 경제성장과 아시아의 대국으로 부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조약이 발효되는 순간 일본 전역에 사이렌이 울렸고 사원에서는 타종소리가 울려퍼졌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