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

국권수호의 상징적 언론 ‘대한매일신보’ 창간

대한매일신보는 나라의 운명이 다했던 1904년 7월 18일에 창간됐다. 4개면은 영문, 2개면은 한글로 된 타블로이드판 신문이었다. 러일전쟁 취재차 내한한 영국 ‘데일리 크로니클’지의 임시 특파원 배설(Bethell)과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인 양기탁이 만들어 사실상 한·영합작신문이나 다름없었다. 배설은 편집인 겸 발행인을, 양기탁은 총무을 맡아 신문발간에 심혈을 기울였다. 주필 박은식은 애국계몽사상을 고취시키는데 앞장섰다.

창간 때부터 반일 색채를 띠었던 대한매일신보는 영일동맹의 한쪽 당사국 영국인(배설)의 이름으로 발행된 덕에 치외법권적 지위를 누리며 시종 항일논조를 펼칠 수 있었다. 1905년 8월에는 영문판을 따로 떼내 ‘코리아 데일리 뉴스’라는 이름으로 영자신문을 발간하고 1907년 5월 23일에는 한글전용 ‘대한매일신보’를 새로 창간, 국한문·영문·한글 등 3종의 신문을 한꺼번에 펴내는 한국 언론사상 초유의 기록을 남겼다. 발행부수가 1만 부를 넘어서는 등 점차 영향력이 커지자 일제는 통감부 기관지 ‘경성일보’와 영자신문 ‘서울 프레스’를 발간, 대한매일의 영향력을 줄이려고 안간힘을 썼다. 한편으로는 배설의 추방을 요구하는 외교적 압력과 통감부를 통한 신문압수라는 사법적인 탄압도 병행했다.

1908년 6월 배설이 상하이로 쫓겨나 3주간 옥살이를 하고 양기탁이 국채보상금 횡령이라는 누명을 써 1908년 7월에 구속되면서 신문은 위기를 맞았다. 급기야 1909년 5월 1일 배설이 37세로 숨지면서는 더욱 가파른 속도로 하향곡선을 그렸다. 결국 1910년 5월 21일 외교문제를 꺼리는 영·일 양측의 회유와 협박으로 신문은 통감부로 넘어갔다. 국권수호의 상징적 존재였던 대한매일신보가 마침내 종언을 고한 것이다. 한일합병 후 대한매일신보는 ‘매일신보’란 이름의 총독부 기관지로 전락, 광복 후까지 명맥을 유지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