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

안견 ‘몽유도원도’ 완성

1447년(세종29년) 4월 20일, 세종의 셋째아들 안평대군이 박팽년과 함께 도원(桃源)을 거닐었다는 간밤의 꿈을 자신이 후원하는 당대 최고 화가 안견에게 전해주었다. 사흘 뒤인 4월 23일 안견은 가로 106.6㎝, 세로 38.7㎝ 크기의 비단 위에 먹과 채색으로 꿈을 담아 안평대군에게 바쳤다.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였다. 조용하고 온화한 평지와 구름허리를 뚫고 솟은 웅장한 기암절벽이 꼼꼼한 필치로 묻어나왔다.

당대의 명필 안평대군이 제서(題書)·발문(跋文)·시 1편을 그림에 싣자 성삼문·정인지 등 21명의 대학자들도 앞다퉈 친필로 23편의 찬양시를 그림에 올렸다. 하지만 안평대군을 포함해 이들 중 상당수가 수양대군(세조)이 권력을 잡고나서 줄줄이 처단되는 바람에 그림에 오른 이름들은 결과적으로 ‘살생부’가 되고 말았다. 정작 안견은 목숨을 부지했지만 그가 언제 누구의 자손으로 태어나 또 언제 세상을 떠 어디에 묻혔는지는 일체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그런데 ‘몽유도원도’는 우리나라에 없다. 1893년 이전에 일본으로 건너가 현재 일본 텐리대(天理大)에 소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국으로 돌아올 기회는 딱 한 번 있었다. 전 중앙박물관장 최순우의 기록에 의하면 1952년 80만 엔으로 구입할 수 있었지만 당시 정부의 예산부족으로 기회를 놓쳤다는 것이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