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

마르셀 뒤샹 앙데팡당전에 ‘변기’ 출품… 회화의 관습에 대한 조롱

↑ 마르셀 뒤샹의 1917년 당시 작품 ‘샘(fountain)’

 

1917년 4월 10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독립미술가협회의 첫 전시회인 ‘앙데팡당전’은 6달러만 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젊고 패기만만한 독립작가들의 축제의 장이었다. 그런데 그 전시장 칸막이 뒤에 한 작품이 볼썽사납게 거의 방치된 채 놓여 있었다. 마르셀 뒤샹(1887~1968)의 ‘샘(fountain)’이라는 작품이었다.

전시회가 열리기 전 뒤샹은 변기 제조업자 리처드 머트의 이름에서 딴 ‘R.Mutt(얼간이) 1917’라고 사인을 한 남성용 소변기를 들고 와 주최측에 전시를 요구했다. 분명 무심사 전시가 원칙이었는데도 전시위원회 측은 전시여부를 놓고 갑론을박했다. 결국 위원회가 변기를 작품으로 보지 않고 예술을 모독하는 비속한 물건으로 결정함에 따라 ‘샘’은 전시 기간 내내 푸대접을 받아야 했다. 뒤샹은 전시가 끝난 후 한 잡지를 통해 ‘미국인에게 보내는 공개장’이란 제목의 글을 통해 그들의 무지를 질타했다. “미국의 문화라는 것이 변기와 교량밖에 없지 않느냐”고.

뒤샹의 작품이 거부된 것은 이번만이 아니었다. 5년 전 파리의 앙데팡당전에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2’라는 그림을 출품했을 때도 역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누드’는 이듬해 뉴욕에서 전시되었을 때 관객들이 그의 작품을 보기 위해 장사진을 칠 정도로 가장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같은 작품을 놓고 악평과 호평이 교차하는 것에 충격을 받은 뒤샹은 이후 사실상 그림그리기를 중단하고 새로운 미술양식에 몰두했다. 현대미술에서 매우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받고 있는 ‘레디메이드(Ready Made․기성품)’였다. 그는 공장에서 대량생산되는 기성품 즉 ‘레디메이드’를 예술에 끌어들여 일상용품과 예술작품의 경계를 허물었다. 뒤샹의 대표적인 ‘레디메이드’ 즉 전시회에 출품된 ‘변기’가 함축한 것은 ‘예술은 더 이상 어떤 대상을 손으로 재현하는 테크닉이 아니다’는 메시지였다. ‘제작’으로만이 아니라 작가의 ‘선택’ 만으로도 예술작품이 될 수 있다는 뒤샹의 의도는 이전 사고에 대한 도발이었고 회화의 관습에 대한 조롱이었다.

 

☞ 마르셀 뒤샹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