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대한민국 경제발전의 초석 ‘포항 1고로’, 48년만에 역사 뒤안길로… 포항제철은 어떻게 지어지고 ‘건설의 주역’ 박태준은 누구인가

↑ 1973년 6월 9일 오전 포항제철소 제1고로에서 첫 쇳물이 쏟아져 나오자 박태준 당시 포항종합제철 사장과 임직원들이 만세를 부르며 환호하고 있다.

 

by 김지지

 

국내 철강 역사의 증인이자 대한민국 경제 발전의 초석인 포스코의 ‘포항 1고로’가 2021년 12월 28일 자정을 기해 쇳물 생산을 중단하고 29일 종풍(終風·고로가 수명을 다해 쇳물 생산을 마치는 과정)식을 갖고 은퇴했다. 이 땅에 첫 쇳물을 쏟아내기 시작한 지 48년 6개월 만에 가동을 멈춘 것이다.

 

밝은 오렌지색 섬광이 치솟더니 시뻘건 쇳물이 힘차게 쏟아져

포항종합제철 박태준 사장과 직원들이 긴장된 표정으로 고로(용광로) 아래 출선구를 뚫어져라 쳐다보기 시작한 것은 1973년 6월 8일 이른 아침이었다. 그들은 그날 박태준이 태양열로 채화한 원화(元火)로 점화로에 불을 지핀 고로에서 쇳물이 나오기를 기다렸으나 예정된 시각이 한참 지나도록 쇳물이 나오지 않자 박태준을 비롯한 임직원은 가슴을 졸인 채 기다려야 했다. 그렇게 21시간이 지난 6월 9일 오전 7시 30분, 마침내 출선구가 열리면서 밝은 오렌지색 섬광이 몇 미터쯤 치솟는가 싶더니 용암처럼 시뻘건 쇳물이 힘차게 쏟아졌다. 우리 손으로 만든 우리나라 최초의 일관제철소 고로에서 쇳물이 생산되는 순간, 현장에 있던 직원들은 부둥켜안고 눈물을 흘리며 만세를 외쳤다. 다만 박태준의 표정만은 담담했다. 너무나 오랜 기다림 끝에 어렵게 쇳물이 나오는 순간을 보고 허탈해졌기 때문이다.

1973년 6월 8일 당시 박태준 사장이 태양열로 채화한 원화를 제선공장의 포항 1고로에 화입하고 있다.

 

이렇게 쇳물을 생산하기 시작한 포항종합제철소 1기 준공식은 1개월이 지난 7월 3일 오후 2시 박정희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조강 생산 능력 103만t 규모의 포항종합제철의 완성은 경부고속도로 건설 비용의 3배나 되는 엄청난 금액이 들어가 단일사업으로는 단군 이래 가장 큰 대역사였다. 이후 1고로는 사람으로 치면 평균수명 3배 이상 세월을 살아왔다. 고로는 내부에 불이 꺼지면 다시 불을 지피기까지 반년이 걸리기 때문에 항상 뜨거운 열기 속에 가동돼야 한다. 이 때문에 고로의 평균수명은 15년을 넘기기 어렵다. 포스코는 1979년과 1993년 두 차례 개보수를 거쳐 50년 가까이 1고로에서 쇳물을 뽑아내는 데 성공했다. 철강 기술이 발달한 미국이나 일본에서도 드문 사례다.

포항 1고로는 반세기 가까운 세월 동안 제철보국(製鐵報國)의 상징으로, 한국 경제발전의 초석이자 젖줄 역할을 했다. 생산한 쇳물의 양은 총 5520만t에 이른다. 이는 30만t급 초대형 유조선 1380척을 건조하거나, 중형 자동차 552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또 인천대교 1623개를 건설할 수 있다. 포스코도 이 기간에 연간 조강 생산량 3594만t(2020년 기준)을 자랑하는 세계 6위 철강사로 성장했다. 포항 1고로의 성공적인 준공으로 한국은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을 자력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조선, 자동차, 가전 등 국내 제조업은 단기간 내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포항 1고로는 국가 경제 성장을 뒷받침한 공로를 인정받아 ‘민족 고로’ ‘경제 고로’로 불려왔다. 철강협회는 국내 최초·최장수 고로로서 포항 1고로의 상징적 의미를 기념해 첫 출선일인 6월 9일을 ‘철의 날’로 제정했다. 포스코는 1고로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기리기 위해 고로 내부를 완전히 냉각하고 철거 작업 등을 거쳐 ‘포항1고로 뮤지엄’으로 바꿔 일반에 공개할 계획이다.

 

박정희 대통령, 1968년 포항종합제철 초대 사장에 박태준 임명

우리나라에서 종합제철사업의 꿈이 처음 펼쳐진 것은 1950년대의 자유당 말엽이었다. 1958년 8월 상공부가 연산 20만t 규모의 종합제철공장 건설계획을 발표했으나 외자 조달에 실패해 결국 포기해야 했다. 1961년 5·16 쿠데타 후에도 박정희의 군사혁명 정부가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면서 제철소 건립을 구상했으나 또다시 꿈에 그치고 말았다. 그래도 박정희는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 결국 제철소 건립은 1966년 1월 박정희 대통령이 방미 길에 미국 제철공업의 본고장 피츠버그를 둘러보면서 구체화되었다.

정부는 제철소 건립에 필요한 외자를 마련하기 위해 1966년 12월 미국의 피츠버그에서 한국의 종합제철소 건설을 위한 국제 차관단회의를 마련했다. 회의 끝에 미국, 독일 등 4개국 7개 회사(1년 뒤 프랑스의 1개 회사가 추가되어 5개국 8개 회사)를 중심으로 ‘대한국제제철차관단(KISA)’이 발족되었다. KISA는 현금 차관 대신 종합제철 건설에 필요한 설비를 차관 형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구였다. 정부는 1967년 4월 KISA와 가협정을 체결하고 1967년 10월 3일 경북 포항시 영일만 대송면에서 ‘종합제철공업단지 기공식’을 열었다. 종합제철공장건설추진위원장으로는 박태준(1927~2011) 대한중석 사장을 1967년 11월 임명했다.

 

#박태준 #박정희 #포항종합제철 #포스코 #대한국제제철차관 #하와이구상 #대일청구권자금 #차관

 

☞ 전문(全文)을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