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땅 구석구석

[춘천 오봉산] 멀리 소양호를 바라보면서 초록의 소나무와 어우러진 암릉을 걷는 맛이 제법 쏠쏠하답니다

↑ 태성이가 암봉에서 멀리 소양호를 바라보고 있다. 왼쪽 봉우리는 배꼽봉이다.

 

by 김지지

 

☞ 내맘대로 평점(★5개 만점). 등산요소 ★★★ 관광요소 ★★★

☞ 5㎞에 5시간 정도

☞ 배후령 →(2.0㎞)← 오봉산(제5봉) →(1.5㎞)← 배꼽봉 →(1.5㎞)← 청평사

 

언젠가 몇몇 친구들로부터 “춘천 오봉산의 소나무가 참으로 멋지다”는 얘기를 들었다. 소나무 군락이 어떤 모습일까 궁금해 하던 중 대학 친구들과 오봉산 약속이 잡혔다. 때는 2021년 10월 17일이었고 동행자는 동규 정형 태성 희용 4명이다. 희용을 제외한 나머지 3명은 오봉산이 초행이다.

 

■오봉산은

 

▲개괄

오봉산(779m)은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과 화천군 간동면에 걸쳐 있다. 하지만 오봉산 아래 소양호와 청평사가 춘천에 속해 있어 ‘춘천의 산’으로 알려져 있다. 오봉산(五峰山)은 이름 그대로 5개 봉우리 뜻이다. 서쪽의 배후령부터 1봉(나한봉)∼2봉(관음봉)∼3봉(문수봉)∼4봉(보현봉)∼5봉(비로봉)이 주능선을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길게 이어져 있다. 이 가운데 정상이 제5봉이다. 오봉산은 호반 명산이다. 산행을 하면서 호수든 강이든 바다든 내려다 볼 수 있다는 것은 큰 매력이다. 충북 제천·단양·충주에 명산이 많은 것도 충주호 덕분이다.

산세는 크지도, 웅장하지도 않다. 그런데도 산림청과 블랙야크가 100대 명산으로 지정했다. 멀리 소양호를 바라보면서 연초록의 소나무와 어우러진 암릉을 걷는 맛이 제법 쏠쏠하기 때문이다. 오봉산 아래에는 천년고찰 청평사와 국가지정 ‘명승(名勝)’인 고려선원까지 있어 산행으로 지친 몸을 달랠 수 있다. 산행 후, 소양호 유람선을 타고 10분 정도 푸른 소양호 물살을 가르는 뱃길여행은 덤이다. 배후령~정상~청평사로 이어지는 산행 거리는 대략 5~6㎞에 4~5시간 정도 걸린다. 5~6㎞라고 애매하게 표현한 것은 이곳 역시 방향판에 표시된 거리가 들쑥날쑥이기 때문이다.

오봉산 지도

 

▲들머리 접근

주요 들머리는 배후령이나 청평사다. 등산객 대부분은 배후령으로 올라가 청평사로 내려오는 코스를 선호한다. 배후령에서 정상까지 표고차가 얼마 안되고 청평사에서 시작하는 급경사 오름길보다 수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들머리와 날머리가 다르면 교통편이 문제가 된다. 접근 방법은 두 가지다.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배후령이나 청평사에 주차하고 산행 후 반대로 내려가 택시를 불러 원래 출발지로 되돌아 가는 것이다. 전철을 이용할 경우, 경춘선이나 ITX청춘열차를 타고 춘천역(혹은 남춘천역)까지 가서 택시를 타고 들머리로 갔다가 날머리에서 다시 택시를 타고 출발 역으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그런데 청평사까지 승용차가 들어가는 것을 의외로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내비게이션에서 ‘청평사’를 검색하면 알아서 안내한다. 이동이 싫으면 청평사에서 올라가 부챗살로 원점회귀하는 다소 긴 코스도 있다.

우리는 서울에서 ITX청춘열차를 타고 춘천역 도착 후 택시를 타고 배후령으로 이동했다. 이후 오봉산 정상을 거쳐 청평사로 내려와 유람선으로 소양호를 건넌 후 택시를 타고 춘천역으로 돌아갔다. 참고로 ITX청춘열차의 경우 용산-춘천 요금은 1인당 왕복 19,600원이다. 4인이 이용한 택시요금은 춘천역→배후령이 24,600원이고 소양강댐 선착장→춘천역이 18,700원이다. 소양강 배삯은 1인당 왕복은 7,000원이고 편도는 4,000원이다.

소양호

 

■우리 산행은

 

▲배후령에서 제5봉(정상)까지

배후령길은 오랫동안 국도 제46호선의 일부였으나 2012년 배후령터널이 개통된 후에는 국도에서 제외되고 통행하는 차량도 드물어졌다. 우리는 제1봉에 오른 후 능선을 타고 제5봉(정상)까지 갔다가 소양호 방향으로 뻗어있는 남쪽의 급경사 암릉을 타고 청평사로 하산한다. 배후령의 해발고도가 600m이고 오봉산 정상(제5봉)의 해발고도가 779m이니 고도를 180m만 높이면 된다. 배후령에는 소형 트럭을 개조한 간이매점이 있을 뿐 상설 매점이 없다. 결국 관리 주체가 없다는 것인데 그래서 그런지 주변이 지저분하고 어수선하다. 제대로 구색을 갖춘 주차장도 없다. 조금만 관리하면 멋진 들머리가 될 수 있고 지나가는 차량이 그 모습을 보고 훗날 산행을 기약할텐데 그런 점에서 아쉽다.

배후령에서 가파른 산길 360m를 15분쯤 올라가니 주능선 삼거리 안부다. 안내판에 <← 오봉산 1.67㎞, →끝봉 1.7㎞>라고 쓰여 있다. <끝봉 1.7㎞> 표시는 오봉산과 반대 방향인 경운산(794m)과 785봉을 거쳐 끝봉에서 청평사로 하산하는 등산객을 위한 안내다. 코스를 설명하면 청평사매표소~청평사~5봉~경운산~785봉~끝봉~청평사~청평사매표소로 원점회귀하는데 거리는 9.6㎞다. 나중에 필히 다녀올 생각이다.

삼거리에서 평탄한 능선을 따라 5분쯤 가면 제1봉이다. 화강암 표지석이 있으나 높이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살짝 내려가 완만한 산길을 10분쯤 진행하니 제2봉이다. 평탄한 길에 표지석을 설치했는데 표지석만 없다면 봉우리가 아니라 그냥 능선길의 일부다. 2봉과 마찬가지 모습의 3봉을 지나니 뱀꼬리처럼 늘어진 배후령길이 내려다보이고 곧이어 첫 조망바위가 나타난다. 조망바위에서는 이리 휘고 저리 휜 고사목이 산행객을 맞는다. 비로소 소양호가 멀리 내려다보인다. 누가 강원도 산 아니랄까봐 첩첩산중이다. 오른쪽으로는 경운산과 끝봉 능선이, 왼쪽으로는 우리가 가야할 오봉산 능선이 길게 이어져 있다.

3봉 오름길(왼쪽)과 5봉 오름길 

암릉다운 암릉길이 비로소 시작되는 것은 제3봉 부터다. 3봉부터 4봉까지 능선에 뿌리내린 적당한 크기의 소나무들이 도열해 있고 멀리 오른쪽(남쪽) 소양호를 감상하며 걷느라 발걸음이 자꾸 늦어진다. 오봉산의 매력 중 하나는 소나무다. 직접 눈으로 확인하니 경주나 강릉에서 보았던 아름드리나 낙락장송은 아니다. 괴산의 도락산이나 양주의 불곡산처럼 분재같은 소나무도 많지 않다. 대신 젊고 싱싱하고 푸르른 소나무들이 가을햇살을 받아 반짝이니 눈길이 간다. 좋은 토양에서 자라는 쭉쭉빵빵 금강소나무도 멋이 있지만 바위 틈에서 모질게 자라는 소나무도 나름 매력이 있다.

능선길은 소양호를 오른쪽으로 끼고 진행하다가 제5봉부터는 소양호를 정면으로 내려다보며 걷는다. 그래서 오봉산을 ‘소양호의 전망대’라고 한다는데 소양호를 감상하기에는 거리가 멀다. 소양호를 바라보고 있으면 호수를 에워싸고 있는 여러 산들이 소양호를 향해 줄달음치며 내려가는 형상이다. 제4봉으로 가려면 제3봉에서 안부로 내려갔다가 가파른 바위지대를 올라야 한다. 그냥은 올라갈 수 없어 쇠줄과 발디딤판이 설치되어 있다. 제4봉 바로 전에는 3~4미터 길이의 목조 다리가 있는데 다리 건너 직진해야지 오른쪽 길이 평탄하다고 해서 그 길로 가면 우회해 올라가게 된다. 제3봉에서 제4봉까지 20분이 걸렸다.

4봉은 오봉산 다섯 개 봉우리 중에서 전망이 가장 좋다. 우리가 지나온 서쪽의 주능선은 물론 주변의 여러 산줄기도 한눈에 들어온다. 4봉을 지나 첫 번째 암릉을 타고 올라가면 사람 키의 3배는 되어 보이는 바위가 우뚝 솟아있고 꼭대기 바위 틈에는 사시사철 눈, 비, 바람을 이겨내며 홀로 버티고 있는 젊은 소나무가 늠름하다. 소나무 옆에 작은 표지석이 있는데 자세히 보니 ‘청솔바위’라고 새겨 있다. 한 번 더 안부로 내려갔다가 쇠줄이 설치된 급경사 암릉길을 올라가야 비로소 5봉이다. 5봉은 오봉산의 정상 답게 대접이 다르다. 1봉에서 4봉까지 정상석은 일반적인 흰색 화강암이지만 5봉 정상석은 반질반질한 검은색의 오석(烏石)이다. 다만 사방이 숲으로 에워싸여 조망은 별로다.

제5봉 가다가 뒤돌아본 지나온 능선과 소나무

 

▲제5봉에서 배꼽봉(소요대)까지

5봉 정상을 지나 50m 아래에 <부용산 2.1㎞, 청평사 2.2㎞> 안내판이 있다. 그곳을 지나 청평사(남쪽) 방면으로 내려가면 경사가 만만치 않은 암릉길이 또다시 이어진다. 다행히 오르막이 아니라 내리막이다. 그 암릉을 중심으로 서쪽(왼쪽)이 선동계곡(청평사계곡)이고 동쪽(오른쪽)이 부용계곡이다. 이곳 암릉은 오봉산에서 가장 빼어난 암골미와 풍광을 자랑한다. 암릉을 따라 소양호를 바라보며 내려가는 이 길이 사실상 오봉산행의 백미로 꼽힌다. 대신 경사가 만만치 않아 조심스럽다.

소양호를 내려다보면서 걷는 암릉길은 서서히 고도가 낮아진다. 암릉을 타고 7~8분 내려서면 조망 좋은 암봉이다. 그곳에 서면 바로 앞으로는 배꼽봉이, 멀리는 소양호가 내려다 보인다. 배꼽봉 조망터로도 불리는 암봉에서 다시 10분 정도 내려가면 홈통바위(일명 구멍바위)다. 배낭을 메고 통과하는 게 까다로울 정도로 공간이 좁고 경사가 가파르다. 쇠줄과 발디딤판을 설치해 위험하지는 않지만 스릴은 있다. 홈통바위를 빠져나와 10분쯤 내려서면 안부 삼거리에 다다른다. 그곳에 청평사까지 거리를 표시한 안내판이 있다. 부용계곡으로 내려가는 오른쪽(완경사)은 1.6㎞이고 배꼽봉을 지나는 남릉바윗길인 직진(급경사) 방향은 1.5㎞다. 1시간 전 만난 안내판에도 청평사까지 거리가 1.5㎞인데 이곳에서도 청평사까지 거리가 1.5㎞란다. 우리나라 어느 산에 가도 흔히 발견되는 엉터리 안내판을 이곳에서 또 확인한다.

안부 삼거리에서 초보자나 노약자는 오른쪽 계곡길로 내려가는 것이 좋다. 완경사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가파르다. 안부에서 20분 이상 걸릴 정도로 급경사다. 그런데도 데크계단은 20개 정도이고 그 아래로는 급경사 흙길이다. 전국 산마다 설치된 그 흔한 데크 계단을 설치하면 딱 좋을 것 같은데 폭우가 내리면 쓸려내려갈 것 같아 자연 상태 그대로 나뒀다는 생각이 든다. 계곡 길을 걷는 것이니 조망도 없고 풍광도 그러 그렇다. 그러다가 안부 삼거리에서 30분 쯤 내려가면 <청평사 고려선원> 안내판이 나온다. 그곳부터 청평사 아래 매표소까지가 고려선원 영역이라는 안내판이다. 청평사와 고려선원은 이 글 아래에서 소개한다.

홈통바위(왼쪽)와 천단 위 촛대바위

 

▲배꼽봉(소요대)에서 청평사까지

우리는 남릉바윗길로 내려간다. 위의 안부 삼거리에서 10분 정도 올라가니 배꼽봉(688m봉)이다. 봉우리 끝에 조망이 빼어난 ‘소요대(逍遙臺)’가 있다. 소요대는 조선 후기 학자 서종화가 ‘청평산기’에 소개할 만큼 조망이 뛰어나다. 그동안 잘 보이지 않던 낙락장송이 깎아지른 절벽 위에서 소양호를 내려다보고 있다. 청평사 지붕도 비로소 보인다. 오봉산 전체에서 최고 전망터라는 수식이 결코 과장이 아니다. 배꼽봉에서 10분 정도 내려가니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천단이 있고 그 위에 촛대바위가 우뚝하다.

소요대에서 조망을 즐기는 희용과 태성. 절벽 위에 낙락장송이 보인다.

 

이후 하산길은 청평사까지 본격적인 급경사 암릉길이다. 바위마다 척박한 환경 속에서 질긴 목숨을 이어가는 소나무들이 즐비하다. 거북이 뒷모습을 한 바위도 있다. 수십 길 벼랑 위를 걷는 이곳 암릉길은 험하기도 하지만 일부 구간은 위험하기까지 하다. 쇠말뚝과 쇠줄의 연속이다. 따져보지 않았지만 구불구불 이어진 쇠줄 지대가 100m 이상은 되는 것 같다. 자세를 최대한 낮춰 조심조심 쇠줄을 잡고 내려오는 데만 30분 이상 걸린다. 이렇게 긴 쇠줄 지대는 내 산행 경험상 이곳이 처음이다. 팔을 써서 내려가야 하니 3~4일 동안 팔뚝이 무겁고 욱신거린다. 그럼에도 급경사 바윗길을 내려가며 파란 가을 하늘, 푸르른 소양호, 호수를 감싸고 있는 초록의 연봉들, 선동계곡의 울창한 숲, 청평사의 지붕 등을 바라보는 맛은 오봉산이 왜 100대 명산인지를 실감하게 한다. 생각해보니 일반 등산객이 청평사에서 오르는 것은 무리다. 배낭을 멘 상태에서 팔을 이용해 길고 가파른 바위 구간을 오르는 게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청평사에 도착하니 7시간 걸렸다. 점심 시간을 빼도 6시간이다. 산행 거리는 5㎞에 불과한데 시간은 꽤 많이 걸렸다. 코스를 요약하면 ‘배후령 → (2.0㎞) ← 오봉산(제5봉) → (1.5㎞) ← 배꼽봉 → (1.5㎞) ← 청평사’다.

거북이가 바위 위에서 소양호를 바라보는 듯한 모습이다.

 

■청평사와 고려선원

오봉산까지 왔는데 청평사를 그냥 지나치는 것은 아쉬운 선택이다. 보물 제164호로 지정된 회전문과 천년 이상 지켜온 고려선원의 정취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령이 각각 800년과 500년 된 주목도 있다. 청평사는 고려 광종 24년(973) 때 세운 백암선원을 연원으로 하고 있다. 그 후 고려 중기 때 이자현이 이곳 경치에 반해 청평산(淸平山)이라 부르고 절 이름을 문수원이라 했다는 기록이 있다. ‘청평(淸平)’은 더러운 것을 맑게 하고, 소란스러운 것들을 평화롭게 한다는 의미다. 이자현의 호이기도 하다. 조선 중기 보우대사가 중건한 뒤 청평사라고 개칭했다고 한다. 청평사에는 국보로 지정된 극락전 건물과 고려 최고의 명필가인 탄연이 쓴 문수원기비가 있었으나 6·25 전쟁 때 모두 불타고 회전문만이 유일하게 남았다. 지금의 극락전과 문수원기비는 최근 복원된 것이다.

청평사 모습. 절 뒤가 배꼽봉과 소요대다.(출처 춘천시청)

 

회전문(廻轉門)은 1557년경 보우대사가 청평사를 대대적으로 중건할 때 세운 사찰의 중문(中門)이다. 한글 이름만 보면 빙글빙글 돌아가는 문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청평사 창건설화인 공주설화와 연계해 중생들에게 윤회의 전생을 깨우치기 위한 마음의 문이다. 그래서 이름이 윤회 의미의 회전문이다. 용마루 곡선과 오봉산 바위봉우리의 조화가 일품이다.

청평사 회전문(출처 청평사)

 

청평사를 소개하면서 고려선원(高麗禪園)을 빼놓을 수 없다. 고려선원은 청평사를 중심으로 계곡, 영지, 소(沼), 반석, 기암괴석, 폭포 등이 어우러진 일대를 일컫는다. 대한민국 명승 제70호로 지정되었으니 문화재청이 보증한 자연 명소다. 청평사에서 소양호 선착장으로 이어진 호젓한 길을 내려가다 보면 영지(影池)가 계곡 옆에 있다. 일본이 자랑하는 정원보다 200년이나 앞선 정원이어서 우리나라 ‘연못의 시조’로 불린다.

다시 길을 따라 내려간다. 오른쪽으로 이자현의 부도가 있고 왼쪽에 중국 원나라 순제의 공주와 상사뱀의 전설이 얽힌 삼층석탑(공주탑)이 있다. 그 아래에 아홉 가지의 소리를 내며 떨어진다는 전설의 구송폭포(혹은 구성폭포) 소리가 요란하다. 높이 10m에 12폭 병풍을 펼친 듯한 길이 40m 수직 절벽 아래로 계곡물이 세차게 쏟아져 내린다.

고려선원 구송폭포

 

청평사 주변엔 ‘공주와 상사뱀’ 동상(계곡), 공주굴(구송폭포 옆), 공주탕(청평사 옆)도 있는데 모두 당나라 공주 설화와 관련 있다. ‘공주와 상사뱀’ 설화는 절에 대한 흥미를 한층 더해준다. 청평사 문화유산 해설사는 설화를 이렇게 설명한다. “옛날 중국에서 공주를 사랑하다 왕에게 발각되어 처형된 평민이 ‘상사뱀’으로 환생, 공주의 몸을 감싸고는 떨어지지 않았다. 주변사람들의 권유로 청평사를 찾은 공주가 기도를 올리자 회전문을 통과하던 뱀은 갑자기 쏟아진 폭우에 떠내려가 죽고 말았고 그 공주가 부처님 은공에 감사드리기 위해 삼층석탑을 세웠다.”는 것이다. 고려선원 일대를 감상하며 선착장에 도착하니 우리를 태우고 소양호를 가로지를 유람선이 기다린다.

‘공주와 상사뱀’ 동상(출처 청평사)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