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제중원(濟衆院)은 조선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 설립의 주역인 호러스 알렌은 어떤 사람이고 한말(韓末) 서양의학을 배운 조선인 의사들은 어떻게 양성되었나

↑ 제중원 전경

 

by 김지지

 

1883년 대미 사절단 ‘보빙사’의 미국 방문은 조선 선교의 전환점

의료와 교육을 앞세운 서양 개신교의 조선 선교에 전환점이 된 것은 1883년 민영익을 정사로 한 대미 사절단 ‘보빙사’의 미국 방문이었다. 우리 역사상 최초로 서양 문물을 체험하게 될 보빙사 일행은 일본을 거쳐 1883년 9월 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항에 입항한 뒤 대륙 횡단 열차를 타고 미국의 수도 워싱턴으로 향했다. 열차 승객들은 아메리카 원주민을 닮은 외모에 통이 좁고 속이 비치는 이상한 모자를 쓴 그들의 모습을 신기하게 바라보았다. 승객 중에는 미국 감리교의 거물급 목사 존 가우처도 있었다. 가우처는 민영익 일행과 대화를 시도했다. 조선어·중국어·영어가 뒤섞인 대화를 통해, 가우처는 조선이 미국과 새로 수교한 나라이고 조선에는 아직 개신교도가 없다는 사실을 알았다. 민영익은 조선에서의 교육과 의료를 요청했다.

재력가였던 가우처는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1883년 11월 뉴욕의 감리교 해외선교부에 조선 선교 개척비 명목으로 2000달러를 기부하면서 조선 선교를 요청했다. 미 감리교 기관지 편집자에게는 조선 선교의 당위성을 설파하는 기사를 싣게 했다. 일본에서 활동 중인 감리교 선교사 로버트 매클레이에게는 조선 선교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라고 편지를 보냈다. 매클레이는 1848년 중국 선교사로 파송되어 23년 간 활동하고 일본에서도 선교사업을 펼쳐 ‘아시아 감리교 선교의 개척자’로 불리던 인물이었다. 매클레이는 1884년 6월 24일 서울에 도착, 김옥균을 통해 조선 정부에 선교 가능성을 타진했다. 7월 초 학교와 병원 사업에 한 해 사업을 허락한다는 고종의 허락이 떨어지자 일본으로 돌아가 미국 감리교 해외선교부에 교육과 의료 사업을 담당할 선교사를 조선에 파견해달라고 요청했다. 그후 다수의 의료선교사들이 조선으로 파견되었다.

 

호러스 알렌은 조선 땅을 밟은 최초의 개신교 의료선교사

미국의 장로회가 젊고 의술이 뛰어난 존 헤론(1856~1890)을 조선에 파견할 의료선교사로 임명한 것은 1884년 4월이었다. 헤론이 조선으로 떠날 준비를 하고 있을 때, 중국 상해에서 의료선교사로 활동하던 호러스 알렌(1858~1932)이 조선에서 의료선교사로 활동하겠다고 본국의 장로회 선교본부에 요청했다. 허락이 떨어지자 1884년 9월 20일 제물포항으로 입국했다. 이로써 알렌은 조선 땅을 밟은 최초의 개신교 의료선교사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호러스 알렌. 오른쪽 사진 여성은 알렌의 아내다.

 

알렌은 미국 오하이오주 델라웨어에서 태어나 웨슬리언대와 마이애미 의과대를 졸업했다. 당시 미국의 대학생들 사이에는 해외 선교 열풍이 한창이었다. 알렌도 의과대 졸업 직전인 1883년 3월 미국 북장로회 해외선교부에 선교사를 지원했다. 졸업 후 의료선교사로 임명되자 1883년 10월 아내와 함께 중국 상해에 도착했다. 그런데 중국에서의 생활은 기대와는 달랐다. 서양인이라고 중국인들이 거리 한복판에서 공격하는가 하면 ‘양귀’가 지나간다며 돌을 던지기도 했다. 병원 운영도 잘 되지 않아 경제적으로 쪼들렸다. 뭔가 돌파구가 필요할 때 지인이 조선에 의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알렌은 서양인 최초이자 유일한 의사로 조선에서 크게 환영을 받았다. 특히 아내가 아프고 자신도 늙어서 의사를 필요로 하는 주한 미국공사 루시어스 푸트 공사가 반겼다. 당시 조선은 기독교 선교가 허락된 나라가 아니어서 푸트는 알렌을 미국공사관의 부속의사라고 고종에게 소개했다. 알렌은 1884년 12월 4일 일어난 갑신정변 때 치명상을 입은 민비의 친정 조카 민영익을 치료했다. 민영익이 3개월간 치료를 받고 완쾌된 덕분에 서양 의술의 우수성이 널리 알려졌다. 알렌은 고종과 민비도 치료해 서양인 최초의 ‘시의(侍醫)’로 임명되었다.

알렌은 고종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서양식 국립병원을 개원했다. 병원은 갑신정변의 주모자로 살해당한 홍영식의 재동 집을 개조해 만들었다. 조선 정부는 1885년 4월 3일 새 병원에서 진료를 시작한다는 사실을 공표했다. 알렌은 4월 10일 첫 환자를 진료했다. 병원 이름은 ‘광혜원’으로 불리다가 4월 26일 고종이 하사한 ‘제중원’으로 바뀌었다.

 

#제중원 #한국최초 #호러스 #호러스알렌 #의료선교사 #민영익 #존헤론 #루이스세브란스 #세브란스병원 #관립의학교

 

☞ 전문(全文)을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