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

존 케이지 작곡 ‘4분33초’ 발표

1952년 8월 29일 미국 뉴욕주 우드스톡의 야외 공연장. 한 피아니스트가 피아노 앞에 앉았다. 그는 각각 33초, 2분40초, 1분20초의 간격으로 피아노 뚜껑을 닫고 열기를 반복하더니 4분33초 뒤 자리에서 일어섰다. 피아노 소리는 없었다. 나무를 스치는 바람소리, 청중의 웅성거림만이 피아노 소리를 대신했다. 우연히 만들어진 이 자연스런 소리들도 음악일 수 있다는 것, 작곡가나 연주자에 의해 만들어진 완성된 음만 아니라 때와 장소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적 음도 중요하다는 것이 곡에 담긴 메시지였다. 20세기 현대 음악계의 이단아 존 케이지가 작곡한 ‘4분33초’는 이렇게 소리없이 세상과 처음 대면했다.

‘무음의 연주’라고 해서 악보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악보에는 3개의 ‘TACET(休止)’가 적혀있었고 이는 3악장을 의미했다. 피아니스트가 피아노를 열고 닫은 것은 악장을 구분하는 행위였다. 케이지는 평소 연주회장의 반향음에서부터 평범한 일상의 소음까지 모든 소리가 같은 가치로 취급받아야 한다고 주장해온 인물이다. 피아노 현 사이에 너트, 볼트, 야채, 파이 등을 끼워넣어 피아노의 음을 변조시키는가 하면 한 항아리에서 다른 항아리로 물을 쏟아부으며 휘파람을 부는 음악을 작곡하기도 했다.

세상은 그의 예측할 수 없는 창작들에 쉽게 비위를 맞출 수 없었으나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그는 다른 분야의 전위예술로 관심을 확장했다. 알렌 긴즈버그(시), 백남준(비디오 아트), 머스 커닝햄(무용) 등과 협력해 전혀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것이다. 케이지는 음악에 우연성이나 모호함을 유산으로 남긴 위대한 작곡가임에 분명하지만 그에 앞서 장르를 넘나들고 전통적 벽을 허물며 현대예술의 모습을 바꿔간 예술가였고 발명가였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