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속 오늘

조선일보 창간… 동아일보는 4월 1일 창간

하세가와 요시미치가 조선총독에서 해임된 것은 전적으로 3·1운동에 기인한다. 그의 퇴장과 함께 무단정치도 잠시 뒷자리로 물러섰다. 후임 총독 사이토 마코토는 소위 ‘문화정치’를 내세워 국면 전환을 노렸으나 기만적이기는 무단정치와 별반 차이가 없었다. 치안 업무를 헌병에서 경찰로 넘기고 교육기관을 늘렸다고는 하나 그것은 회유책이었고 미봉책일 뿐이었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문화정치 표방으로 한국 언론사에 굵게 기록될 중대한 변화가 있었다는 점이다. 금지됐던 진입 장벽을 풀어 민간지 발행을 허용한 것이다. 당시 민간지는 없었고, 일제의 기관지 매일신보만이 유일하게 발행되고 있었다.

1907년 7월 신문발행 자체를 사실상 봉쇄하고 이를 어길 시에는 행정 처분과 형사 처벌까지 가능하도록 했던 ‘광무신문지법’이 그들이 즐겨 사용해온 ‘전가의 보도’였다. 신문지법은 당시 가장 적극적인 항일논조를 펴온 대한매일신보를 겨냥한 악법이었다. 1904년 창간된 대한매일신보는 1910년 조선이 일제에 병합된 다음날부로 매일신보로 제호가 바뀌었고 이는 ‘한국 언론의 암흑기’를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문화정치 표방은 일본어 신문인 경성일보 편집국의 일개 부서로 운영되던 매일신보를 독립된 편집국으로 확대·승격시키는 데도 영향을 미쳤지만 무엇보다 새로운 민간지이자 민족지를 탄생시켰다는 데 큰 의미가 있었다. 민간지 허용 방침이 알려지자 여러 곳에서 발행허가 신청을 했고 이 가운데 조선일보, 동아일보, 시사신문 3종의 일간신문이 발행 허가를 받았다. 그날이 1920년 1월 6일이다.

창간은 조선일보가 앞섰다. 민간 친목 경제단체인 ‘대정실업친목회’ 회원 11명을 포함해 금융인, 변호사, 의사 등 유력인사 39명이 발기인으로 이름을 올려 1920년 3월 5일에 창간됐다. 그러나 자본금이 당초 목표보다 적게 모금되고 5개월 후 대정실업친목회마저 조선일보와 관계를 끊음으로써 조선일보는 창간 이튿날부터 재정난에 시달리며 휴간과 발간을 반복해야 했다. 조선일보는 당초 3·1운동 1주년이 되는 3월 1일을 창간 목표일로 잡았으나 “조선 민중을 선동할 우려가 있다”는 총독부의 반대로 늦춰졌다. 3월 5일은 광무신문지법이 규정한 발행 허가 마감일이었다.

동아일보 역시 인촌 김성수를 주축으로 창간을 서둘렀으나 기일을 맞추지 못해 3월 4일 발행연기허가를 받아 4월 1일 창간했다. 동아일보와 같은날 창간한 시사신문은 노골적인 친일보도로 독자의 환영을 받지못하다가 1921년 2월 사장 민원식이 도쿄에서 재일유학생에게 피살되면서 폐간됐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