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77년 만에 그림이 거꾸로 걸려있는 것으로 확인된 ‘추상화 대가’ 피에트 몬드리안의 화풍

↑ 피에트 몬드리안

 

by 김지지

 

추상화의 선구자로 불리는 네덜란드 출신 화가 피터르 몬드리안(1872~1944)의 한 작품이 77년간 거꾸로 걸려 있었다는 주장이 최근 미술계에서 나왔다. 올해 몬드리안 탄생 150주년을 맞아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대규모 전시가 기획됐는데, 옛 자료를 검토하던 한 큐레이터가 1944년 화가의 작업실을 찍은 사진에 등장한 그림의 모습을 토대로 “그림이 뒤집혔다”는 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문제의 그림은 1941년작 ‘뉴욕 시티1’으로 빨강·파랑·노랑·검정색의 접착테이프가 불규칙한 격자무늬를 이룬 모양이다. 주장이 옳다면, 1945년 뉴욕현대미술관(MoMA) 첫 전시 당시부터 누구도 ‘오류’를 눈치채지 못한 셈이다. 몬드리안 개인사와 화풍을 알아본다.

 

부단히 변화하는 형태들 속에 감춰진 불변의 실재를 포착

20세기 추상화의 두 축은 피에트 몬드리안의 ‘차가운 추상’과 바실리 칸딘스키의 ‘뜨거운 추상’이다. 몬드리안이 엄격하고 질서 정연한 구도 위에 절제된 색의 사용으로 이지적인 추상을 추구했다면 칸딘스키는 특별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화면을 구성했다. 이들 말고 1명의 추상화가를 더 꼽으라면 ‘절대주의 추상’으로 유명한 카지미르 말레비치가 있다. 몬드리안(1872~1944)은 네덜란드에서 태어났다. 칼뱅파 초등학교 교장인 아버지가 종교적 환상에 매달려 가족을 돌보지 않은 탓에 집안은 가난을 면치 못했다. 경제적 어려움과 교육 부족, 그리고 절제된 금욕주의적 성장 배경은 어린 몬드리안을 자기만의 세계로 이끌었다. 몬드리안의 그림은 30대 중반이던 1907년 큰 변화를 겪었다. 형태보다 원색을 대담하게 사용하는 후기인상파 화가들의 작품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접한 것이 계기였다.

1909년 가입한 ‘신지학 협회’도 화풍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신지학은 신의 심오한 본질이나 행위에 관한 지식을 신비적 체험이나 특별한 계시에 의해 알아가고자 하는 종교철학이다. 몬드리안은 신지학의 영향을 받아 모든 사물 속에는 그것을 관통하는 보편적인 본질이 내재해 있으며, 그 본질은 궁극적으로 조화로운 상태를 이루고 있다고 믿었다. 따라서 그는 사람들이 쉽게 알아볼 수 없는 사물의 본질을 작품을 통해 드러내 보여주는 것이 화가의 임무라고 생각했다. 몬드리안은 1911년 프랑스 파리로 활동지를 옮겨 그곳에서 새로운 조형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비구상적 경향의 ‘나무’ 연작은 그 첫 시도였다. 몬드리안의 화폭에 등장하는 나무들은 서서히 형체가 사라지고 미로와 같은 선들로 구성되었다. ‘꽃피는 사과나무’(1912)는 몬드리안의 그림이 조용하면서도 단순한 추상적 표현으로 들어선 출발점이었다.

 

#몬드리안 #피에트몬드리안 #추상화 #신지학 #나무연작 #데스테일 #신조형주의 #부기우기 #브로드웨이

 

☞ 전문(全文)을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