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허균과 홍길동전 2-②] 명문가에서 태어나 평등 세상 꿈꾸다 능지처참 최후 맞은 개혁가

↑ 허균 표준 영정

 

by 김지지

 

허균(1569∼1618)은 명문가 출신이지만 풍운아의 삶을 살았다. 자유분방하고 직선적이고 개혁적 기질이 뚜렷했다. 타협하지 않고 세상을 바꿔보려 했지만 결국에는 역적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와 능지처참으로 생을 마쳤다. 능지처참은 대역죄를 저지른 죄인을 죽인 뒤 시신의 머리, 몸, 팔, 다리를 토막 쳐서 각지에 돌려 보이는 극형이다. 허균의 이런 비극적인 생애는 그 스스로의 표현대로 ‘불여세합(不與世合)’하는, 즉 현실과 타협하지 못하는 강한 기질과 혁신적인 사상, 그리고 자유분방한 행동가적인 면모에서 기인한 측면이 크다. 당대 사람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신분적 특권을 누리기보다 넘어서고자 했던 허균을 가리켜 ‘하늘이 내린 괴물(天生一怪物)’이라 했다. 허균의 이런 기질 때문에 오늘날 그에 대한 평가는 상반된다. 한편에서는 재능과 문장과 식견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않는가 하면 다른 쪽에서는 인륜도덕을 어지럽히고 이단을 좋아해 행실을 더럽혔다는 등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신분적 특권 연연해 하지 않고 기질이 원하는 방향으로 삶 맡겨

허균은 1569년(선조 2) 경상도 관찰사 허엽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집안은 명문가였다. 아버지 허엽은 사간원과 홍문관의 요직을 맡아 정사에 몰두하면서 2번의 결혼으로 3남 3녀의 자녀를 얻었다. 전처 청주한씨와의 사이에 1남 2녀를 두었고 후처 강릉김씨와의 사이에 2남 1녀(허봉, 허난설헌, 허균)를 두었다. 허균의 큰형(허성)과 둘째형(허봉)은 부친과 더불어 조정의 명신으로 활약하고 누나 중 한 명인 허난설헌은 조선시대 최고 여류 시인이었다. 허균이 태어난 강릉 사천면 외가 부근에는 조그마한 야산이 있었다. 마치 이무기가 기어가듯 꾸불꾸불한 모양이라고 해서 교산(蛟山, 蛟는 이무기란 뜻)으로 불렸다. 야산의 능선은 바다로 사라지고 백사장에 커다란 바위들이 앉아 있는데 지금은 이무기가 튀어나와 바다로 사라졌다고 해서 ‘교문암(蛟門岩)’이라 이름이 붙여졌다. 허균이 자신의 호를 교산이라 한 것은 고향에 대한 향수 때문이겠지만 연구자들은 이상을 펴지 못한 채 처형된 허균의 삶과 결국에는 용이 되지 못한 이무기를 연결지어 해석하기도 한다.

허균은 둘째형(허봉)의 친구이면서 당시(唐詩)의 대가인 이달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이달은 시재가 뛰어났지만 서얼이라는 이유로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 스승이 처한 답답한 현실은 허균에게 서얼의 설움을 깨닫게 해주었다. 허균은 명문가에서 태어난 덕에 얼마든지 입신양명할 조건을 갖추었으나 자신의 신분적 특권에 연연해 하지 않고 자신의 기질이 원하는 방향으로 삶의 방향을 틀었다. 첫 번째 선택은 자유분방한 삶이었다.

28세 때인 1597년(선조 30) 문과 중시에 장원하고 다음해부터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나 파직과 복직이 되풀이되는 삶의 연속이었다. 황해도 도사 시절인 1599년 한양에서 데리고 온 기생·무뢰배들과 어울렸다는 이유로 6개월만에 파직된 이래, 불교를 믿는다는 등 각종 이유로 수안군수, 삼척부사, 공주목사직에서도 파직되는 등 모두 6차례 파직과 복직을 반복했다. 유배를 떠나기도 했는데 유배지에서도 조선시대 ‘미식(美食)의 기록’이라 할, 자신이 예전에 먹었던 팔도의 별미를 열거한 ‘도문대작’을 저술할 정도로 태평했다. ‘도문대작’은 21세기 요리연구가 백종원이 “책에 적힌 레시피대로 따라해봤더니 맛있더라”며 찬사를 보낼 정도로 내실 있는 요리책이다.

그가 어울린 부류 중에는 기생과 서얼도 많았다. 그는 기생을 가까이 할 때마다 세간의 눈총을 받았지만 아랑곳하지 않고 기생과 어울렸다. 그의 문집에도 그와 정신적인 교감을 나눴다는 여러 기생들이 등장한다. 전북 부안 기생 이매창이 죽었을 때는 추모시를 짓기도 했다.

#홍길동 #홍길동전 #허균 #허난설헌 #교문암 #이매창 #강변칠우 #서얼 #영창대군 #계축옥사

 

☞ 전문(全文)을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