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가쓰라·태프트 밀약’의 전말… 해석은 법적 의무 지닌 ‘협정’과 의견 교환한 ‘비망록·각서’로 엇갈려

↑ 밀약의 두 당사자 윌리엄 태프트(왼쪽)와 가쓰다 다로

 

by 김지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1월 12일 존 오소프 미국 상원의원을 만나 “일본에 한국이 합병된 이유는 미국이 가쓰라-태프트 협약을 통해서 승인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국 나중에는 분단도 역시 일본이 분할된 게 아니라 전쟁 피해국인 한반도가 분단되면서 전쟁의 원인이 됐다는 점은 전혀 부인할 수 없는 객관적 사실”이라고 밝혔다. 가쓰라-태프트 밀약에 대해 알아본다.

 

러일전쟁으로 백척간두의 위기로 내몰린 고종의 첫 대미 특사는 이승만

1904년 2월 발발한 러일전쟁의 전세가 일본으로 기울어 조선의 상황이 백척간두의 위기로 내몰렸다. 그러나 고종은 22년 전 미국과 체결한, ‘제3국이 한쪽 정부에 부당하게 또는 억압적으로 행동할 때에는 다른 한쪽 정부가 원만한 타결을 위해 주선한다’는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제1조에 실낱같은 희망을 걸었다. 고종의 첫 대미 특사는 이승만이었다. 이승만은 1899년 1월 고종 폐위 음모 사건에 연루되어 5년 7개월간 한성감옥에 투옥되었다가 1904년 8월 특별사면령을 받고 감옥에서 풀려나 그해 11월 미국 하와이로 출국했다. 이승만은 하와이의 한인 동포들과 함께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조선의 사정을 호소할 방법에 골몰했다.

그 무렵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 간의 각축전이 더욱 요동치는데도 조선의 조정은 세계 정세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도 모른 채 연방 헛발질에 여념이 없었다. 국제 정세에 무지하기는 미주 동포들도 마찬가지였다. 1905년 7월 미 육군성 장관 윌리엄 태프트가 일본 방문길에 하와이를 경유했을 때 우리 교민들은 그가 무슨 임무를 띠고 일본으로 가는지조차 알지 못한 채 우리 교민들이 루스벨트 대통령을 만날 수 있는 소개장을 써준 데 대한 답례의 표시로 환영회를 열어주었다.

일본을 방문 중인 윌리엄 태프트(뒤 중앙)와 앨리스 공주(앞 가운데)

 

이승만은 태프트의 소개장을 가지고 하와이 교민 대표 윤병구 목사와 함께 1905년 8월 4일 루스벨트 대통령이 휴식을 취하고 있는 뉴욕 롱아일랜드의 여름 백악관을 찾아가 독립청원서를 전달하고자 했다. 그러나 루스벨트는 공식 외교 경로로 청원서가 접수되면 8월 10일 시작될 포츠머스 회담 의제로 올리겠다고만 말할 뿐 더 이상의 언질은 주지 않았다. 이승만은 면담이 성공했다고 판단해 워싱턴 주재 대리공사 김윤정에게 독립청원서를 루스벨트에게 공식 전달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이미 친일로 기운 김윤정은 고종에게서 명령이 오지 않았다며 청원서 제출을 거절했다. 설사 청원서를 제출했더라도 태프트 장관이 이미 일본 총리 가쓰라 다로와 1905년 7월 29일 이른바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주고받은 상태였기 때문에 별 소용이 없었다.

 

#가쓰라 #태프트 #가쓰라태프트밀약 #밀약 #앨리스공주 #루스벨트

 

☞ 전문(全文)을 보시려면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