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남베트남 패전(1975년) 상황 떠오르게 한 아프가니스탄 정부 항복… 그때도 부패한 정부, 무능한 군대, 미국의 철군(撤軍)이 원인이었다

↑ 남베트남 대통령궁 정문을 부수고 들어간 북베트남군 탱크 (1975년 4월 30일)

 

by 김지지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2021년 8월 15일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에 항복했다. 대통령은 해외로 달아났다. 이로써 2001년 시작된 아프가니스탄 전쟁은 20년 만에 베트남 전쟁에 이어 미국의 ‘실패한 전쟁’으로 막을 내리게 됐다. 아프가니스탄에 남아있던 우리 교민과 대사관 직원도 8월 17일 카불에서 빠져나왔다. 전문가들은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상황이 1975년 4월의 베트남 상황과 유사점이 많다고 설명한다. 당시 베트남의 상황이 어땠는지를 살펴본다.

 

남베트남 정부의 오판과 군대 내 부정부패가 패전의 결정적 원인

1973년 1월의 파리평화협정에 따라 미군이 철수했어도 베트남 정부는 별다른 위기감을 보이지 않았다. 미군이 남기고 간 최신 무기와 58만 명의 베트남 병력, 여기에 미국과의 방위조약이 시퍼렇게 살아 있어 식량과 물자 부족에 시달리는 북베트남(월맹)이 남침하리라고는 미처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북베트남군이 도발하면 조약에 따라 미군이 즉각 개입해 폭격을 재개할 것이고 미국의 북베트남 경제 원조도 중단될 것이며 베트남군의 기동력과 화력으로 그들의 공세에 맞설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대다수 베트남인이 느끼지 못했을 뿐 베트남은 밑둥부터 뿌리째 흔들리고 있었다.

베트남의 정치권은 1975년 9월에 있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극심한 혼란상을 보이며 끊임없이 분열, 반목, 대립하고 승려와 학생, 반전운동가와 인권운동가 등은 연일 구엔 반 티우(응우옌반티에우) 정권 타도를 외치며 혼란을 부채질했다. 그들 가운데는 티우 정권의 부정부패와 사리사욕을 참지 못하고 정의감에 길거리로 나온 사람들도 많았지만 베트남 공산당의 사주를 받은 골수 공산주의자들도 적지 않았다. 뇌물, 마약, 매춘, 도박도 전염병처럼 전국을 휩쓸었다. 무엇보다 심각한 문제는 군대 내 부정부패였다. 58만 명의 군인 중 10만여 명이 뇌물로 비공식 장기휴가를 떠나거나 부유층 집안의 자식들은 형식적으로 입대만 하고 바로 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이름만 있고 실체가 없는 군인들을 가리켜 ‘유령 군인’, ‘꽃군인’이라고 불렀다.

사이공에서 벌어진 반정부 데모 .1974년 10월

 

이처럼 베트남이 혼란에 빠져 있을 때 북베트남은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북베트남은 미국의 반응을 시험해볼 겸 1차 목표로 사이공 북방의 한 성을 점령했다. 그런데도 베트남군의 반격은커녕 미국의 군사적 반응도 없었다. 미국은 북베트남이 파리평화협정을 위반했다고 비난만 할 뿐 철군 당시 남베트남에 약속했던 군사적 지원은 하지 않았다.

미국의 불개입을 확신한 북베트남은 1975년 2월 참모총장 반 티엔 둥 장군과 파리평화조약 당시 북베트남의 협상 당사자인 레 둑 토를 비밀리에 남베트남 중부지역으로 파견해 현지에서 전투를 지휘하도록 했다. 수만 명의 북베트남군도 군사분계선을 피해 라오스․캄보디아 국경과 접해 있는 ‘호찌민 루트’를 따라 베트남 영내로 잠입했다.

반 티엔 둥 장군의 잠행은 훗날 전설이 되었다. 북베트남의 하노이에서는 둥 장군의 이름으로 계속 메시지가 발신되고 있고, 하노이 사령부 앞에는 매일 아침 둥 장군의 승용차가 멈춰서는 등 마치 둥 장군이 하노이에 있는 것처럼 꾸며댔다. 하노이 주재 외국 정보원들은 이런 기만전술을 눈치채지 못한 채 연일 엉터리 보고서를 본국으로 타전했다. 그 사이 둥 장군은 사이공 진격이 바로 가능한 중부 고원의 전략 요충지 반메투오트시(市) 부근 밀림지대에서 북베트남군을 지휘했다. 당시 베트남은 북베트남군이 북위 17도선에 있는 군사분계선을 넘어 공격해 올 것으로 예상하고 북쪽 해안 도시 다낭에 병력을 집결시켰다.

 

#베트남 #베트남전쟁 #베트남통일 #베트남패망 #호찌민 #미군 #이대용 #반티엔둥 #월남전

 

☞ 전문(全文)을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