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자유시 참변’ 100년… 조선인들끼리 벌인 군권 쟁탈전으로 수백 명의 독립군 전사들이 시베리아 땅에서 참혹하게 죽어가

↑ 러시아 스보보드니 체스노코프역의 급수탑. 한인 독립군 부대가 소비에트 적군의 무장해제 명령을 거부하며 마지막 항전을 벌인 곳이다. (2018년 1월 이희용 촬영)

 

by 김지지

 

1917년 11월 러시아혁명 후 시작된 적군(볼셰비키 군대)과 백군(반혁명 군대) 간의 러시아 내전은 1920년 무렵 사실상 적군의 승리로 기울었다. 따라서 러시아혁명의 안착을 방해하기 위해 러시아에 발을 들여놓은 열강의 군대도 1920년 여름까지 대부분 러시아에서 철수, 시베리아 지역은 그럭저럭 안정을 찾아갔다. 그러나 일본만은 극동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지역에 그대로 눌러앉고 있어 볼셰비키 혁명 세력에게는 여전히 골칫거리였다. 분통이 터졌지만 힘이 열세였던 탓에 일본이 스스로 물러나 주기만을 기다리며 전략상 완충지대 역할을 해줄 ‘극동공화국(원동공화국)’을 1920년 4월 수립했다.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에서 최대 비극 사건

그 무렵 러시아의 극동 지역에는 수십 개의 크고 작은 한인 독립군 부대가 있었다. 이들은 레닌의 볼셰비키 정권이 그동안 피압박 민족의 해방운동에 지지와 성원을 보내온 터라 러시아 적군 편에 가담해 백군과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그 중에는 한인보병자유대대도 있었는데 이 부대는 극동공화국 정규 부대 소속으로 편성되었다가 1920년 9월 독립하긴 했지만 사실상 러시아 적군의 정규군이나 다름없었다. 부대 지휘자 오하묵은 러시아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차대전에도 러시아군으로 참전했던 귀화 러시아인이었다.

그 무렵 러시아 적군은 극동공화국 내 아무르 주의 알렉세예프스크를 점령한 뒤 도시 이름을 ‘자유’라는 뜻의 스보보드니(자유시)로 바꾸어 해방구를 선포했다. 연해주나 동시베리아에서 활동하던 한인 빨치산 부대들은 정세가 러시아 적군에 유리하게 전개되고 극동공화국도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자 자유시로 집결했다. 박일리아의 니항부대, 김표돌의 이만부대, 최니콜라이의 다반부대 등이었는데 그중 대표 부대는 니항부대였다.

한인 부대가 속속 자유시로 집결하자 그곳에 터를 잡고 있던 오하묵이 일방적으로 한인 빨치산 부대를 한인보병자유대대에 편입시켜 힘의 우위를 자랑했다. 그러던 중 1921년 1월 박일리아의 니항부대와 오하묵의 한인보병자유대대의 지위가 역전되는 일이 벌어졌다.

극동공화국 정부가 이동휘 등 상해파 고려공산당의 요청을 받아들여 니항부대를 사할린의용대로 확대 개편한 후 한인보병자유대대 등 자유시에 집결한 모든 한인 부대를 사할린의용대의 지휘를 받도록 한 것이다. 당시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는 상해파 고려공산당과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이 각각 한인 사회주의 정당의 대표성을 주장하며 각축전을 벌였는데 한인보병자유대대는 이르쿠츠크파, 사할린의용대는 이동휘의 상해파와 보조를 맞췄다.

만주 북간도에서 활동하던 우리 독립군 부대가 국경을 건너 러시아 땅에 도착한 것은 그 무렵이었다. 독립군 부대는 1920년의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로 일본군에 치명적인 패배를 안겨주었으나 일본군의 대대적인 토벌 작전에 밀려 1921년 1월 흑룡강을 넘어 러시아령 이만에 집결했다.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 안무의 국민회군, 최진동의 군무도독부군 등 북간도에서 활동하던 우리 독립군이 국경을 넘을 수 있었던 것은 이동휘와 극동공화국 정부 사이에 이뤄진 사전 교섭의 결과였다.

극동공화국 정부는 이들 독립군 부대를 이만에서 자유시로 이동하도록 했다. 이 조치에 의심을 품고 북만주로 되돌아간 김좌진 부대 등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독립군 부대는 1921년 3월까지 자유시로 이동했다. 이미 자유시에 모여있던 니항부대, 이만부대, 다반부대원들과 합치면 총병력이 3,000여 명을 헤아렸다.

 

#자유시 #자유시참변 #흑하사변 #홍범도 #코민테른 #러시아혁명 #독립군 #스보보드니 #극동공화국

 

☞ 전문(全文)을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