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땅 구석구석

[제주 오름 가봐수까 ⑥] 새별오름~이달봉~촛대봉 순환 코스… 새별오름 정상까지 올라갔지만 환상적인 분화구를 그냥 지나쳤을 때의 아쉬움을 해소해주는 곳이 이달봉이지요

↑ 새별오름 능선. 사람들이 많은 곳이 정상이다.

 

☞ 내맘대로 평점(★ 5개 기준). 등산 요소 ★★ 관광 요소 ★★★

 

by 김지지

 

■새별오름의 늦가을 정취

제주시에서 서남쪽 서귀포시 대정읍으로 직행하는 지방도로 1135호선을 타고 남쪽으로 중간쯤 내려가다보면 오른쪽 드넓은 벌판에 경주 신라 고분이나 이집트 사막의 피라미드처럼 우뚝 솟아있는 대형 오름이 눈길을 끈다. 애월읍 봉성리의 새별오름이다. 지방도로 바로 옆에 있다보니 제주의 다른 오름처럼 일부러 찾아가는 곳이 아니라 지나가다가 언제든 자연스럽게 만나는 이웃집 같은 곳이다. 이런 접근성 덕에 제주 오름 중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찾아가고 주차장도 제주 오름 중 가장 크다. 초저녁에 뜨는 샛별(금성) 같다고 해서, 밤하늘의 샛별처럼 드넓은 들판에서 외롭게 빛난다고 해서, 부근 이달봉에서 바라보면 5개 봉우리가 별표(★) 같다고 해서 이름이 새별오름이다. 해발고도는 519m이고 비고는 119m다.

새별오름이 가장 멋진 계절은 제주 특유의 바람과 따사로운 햇볕으로 황금빛·은빛을 넘나들며 물결치는 억새가 장관인 늦가을이다. 사람 키보다 높은 억새숲 속에 들어가 한껏 폼을 잡고 사진을 찍는 청춘들의 모습을 지켜보고 있으면 저절로 정겹고 흥겨워진다. 정상까지 오르내리면서 사진찍고 감상하는데 1시간이면 충분하다. 주차장에서 새별오름을 바라볼 때 주로 왼쪽으로 올라가 정상을 밟고 반대편 오른쪽 길로 내려오는 게 일반적이지만 시간과 수고를 기준하면 역방향 코스도 별 차이가 없다. 다만 오른쪽(동쪽) 길이 왼쪽(서쪽) 길보다 은빛 억새숲이 더욱 무성하므로 동쪽으로 내려가야 더 멋진 인생샷을 남길 수 있다. 오르막이 제법 가파르지만 15~20분이면 정상(남봉)에 닿는다.

새별오름 동쪽 하산길

 

길에는 야자수 매트를 깔아놓아 구두를 신고 정장 차림으로 올라가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능선에 오르면 속이 탁 트이는 풍광에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정상(남봉) 북쪽으로는 능선으로 이어진 북봉이 아담하게 자리잡고 있고 그 너머에는 골프장이 사시사철 초록을 자랑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한라산 모습이 비교적 뚜렷하고 서쪽으로는 이달봉과 촛대봉이 나란히 봉긋하게 솟아있다. 자고로 오름의 자랑은 분화구(굼부리)다. 그런데 정상에서는 오름의 일부만 보여 아쉽다. 갈증을 해소하려면 북봉으로 가야 한다. 그래도 아쉽다면 새별오름 서쪽 1㎞ 거리의 이달봉으로 가야 한다.

 

■새별오름~이달봉~촛대봉~새별오름 순환

새별오름, 이달봉, 촛대봉 지도. A는 새별오름 서쪽 들머리, B는 이달봉 들머리, C는 촛대봉 들머리다.

 

▲새별오름~이달봉~촛대봉
꼬불꼬불한 왕복 거리 5㎞ 정도에 2시간이면 족해

새별오름에 올라서면 서쪽 지척에 있는 이달봉과 촛대봉이 “어서 오라며”며 유혹한다. 코스는 새별오름 정상(남봉)에서 출발해 북봉~분화구~이달봉~촛대봉을 지나 비포장도로를 따라 새별오름 주차장으로 원점회귀하는 식으로 진행하면 된다. 꼬불꼬불한 왕복 거리 5㎞ 정도에 2시간이면 족하다. 제주 오름의 대동여지도 격인 ‘오름 나그네’의 저자 고 김종철이 이달봉과 촛대봉을 가리켜 “생동감 넘치는 대지의 젓가슴”이라고 한 것은 모양이 비슷한 오름 두 개가 알맞은 거리를 두고 서 있는 모습이 여자의 가슴을 빼닮았기 때문일 것이다.

새별오름 능선길에서 바라본 이달봉(왼쪽)과 촛대봉(출처 제주시)

 

두 봉우리의 해발고도는 엇비슷하지만 이달봉이 조금 높다. 이달봉의 해발고도는 489m이고 비고는 새별오름과 같은 119m다. 촛대봉의 해발고도는 456m이고 비고는 86m다. 두 봉우리도 화산 활동의 결과인데 새별오름과 달리 분화구가 없다. 분화구에서 마그마가 천천히 흘러나오다가 굳어버려 분화구를 만들지 못한 원추형 화산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봉우리는 ‘오름’이라 하지 않고 주로 ‘봉’으로 불린다.

새별오름 정상(남봉)에서 이달봉과 촛대봉으로 가려면 정상에서 멀지 않은 북봉을 거쳐야 한다. 비탈지고 좁은 길로 이어진 북봉은 암갈색 바위가 솟아 동쪽이 작은 절벽을 이루고 있다. 서남쪽으로는 이달봉과 촛대봉이 손에 잡힐 듯 가깝다. 두 봉우리 사이 잘록하게 패인 안부(鞍部)의 곡선이 매끄럽고 부드럽다. 북봉에서 내려다보면 말굽형 분화구가 서쪽과 북쪽으로 완만하게 트여있다.

새별오름 정상(남봉)에서 바라본 북봉(가운데)과 서쪽으로 트여있는 분화구

 

이달봉의 타고난 팔자는 새별오름 분화구 조망대 역할

분화구 아래 평지로 내려가면 너른 초지와 비포장도로다. 그곳에서 이달봉으로 올라가는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비포장도로 건너편 이달봉 들머리에서 바로 직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곳에서 살짝 북쪽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가다가 만나는 이달봉·촛대봉 사이 안부에서 오르는 것이다. 안부로 올라가지 않고 오솔길을 따라 더 진행하면 촛대봉으로 바로 올라갈 수도 있는데 이 코스는 이 글 아래에서 소개한다. 이달봉과 촛대봉 아래 평지나 산허리에는 방목하는 말들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모든 지역에 철조망이 쳐있다. 사람이 드나드는 몇몇 장소에는 ‘ㄹ’자 철제 방책이  세워져 있다.

이달봉 산행은 이 ‘ㄹ’자 철제 방책 안에서 시작한다. 이달봉 직행길 초반은 삼나무 숲에 소나무도 많다. 15분이면 정상에 오르는데 다소 경사진 곳도 있다. 폐타이어를 깔아 길을 구분하고 있으나 평소 인적이 드문 탓에 낙엽 등이 덮혀 있어 안 보이는 곳도 있다. 이달봉 정상에는 경방초소로 불리는 산림 감시 초소가 있다. ‘경방(警防)’은 경계하여 지킨다는 뜻이다. 2022년 4월에 올랐을 때는 봄철 산불예방기간이어서 산림 감시인이 상주하고 있었다. 그가 쉬어가라며 의자를 내주더니 초행인 나에게 길을 친절하게 안내해준다. 정상 표지석은 쓰러져 있다.

이달봉 정상

 

이달봉 정상에 오르는 이유는 산행 자체의 맛도 맛이지만 새별오름 분화구 전체를 내려다 볼 수 있는 조망 때문이다. 이달봉에서 바라볼 때 새별오름 능선에 몇개 봉우리가 솟아 있고 그 봉우리들을 서로 연결하면 그 모양이 별사탕이라는데 선뜻 다가오지 않는다. 분화구는 위에서 썰매를 타면 막힘없이 스르르 내려갈 것처럼 매끄럽다. 새별오름 남봉~북봉 중간과 북봉 아래에 가르마처럼 생긴 두 오솔길이 아래로 뻗어있고 묘지 4~5기가 편안하게 자리잡고 있다. 분화구를 바라보니 새별오름을 감상하기 위한 조망대 역할이 이달봉의 타고난 팔자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달봉에 올라갈 이유가 딱히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달봉 정상에서 바라본 새별오름과 분화구

 

촛대봉 정상은 새별오름 분화구가 일부만 보일 뿐 조망은 별로

이달봉에서 촛대봉으로 가려면 두 봉우리 사이 안부로 내려갔다가 촛대봉으로 올라가야 한다. 이달봉에서 안부를 거쳐 촛대봉까지 오르고 내리는 거리는 0.85㎞다. 앞서 새별오름에서 평지로 내려와 이달봉에 오르는 길이 이달봉으로 직행하는 길과 안부를 경유해 올라가는 길로 나뉜다고 했는데 그 안부가 지금의 이 안부다. 안부에서 촛대봉으로 올라가지 않을 경우에는 이달봉으로 올라가 반대편 평지로 내려가 비포장도로를 따라 새별오름 주차장으로 가면 된다.

새별오름
이달봉 내려가다가 바라본 촛대봉과 안부

 

비교적 널찍한 안부에서 말들이 한가롭게 풀을 뜯어먹고 있다. 이달봉과 촛대봉 전체가 말 목장이다보니 온통 말똥 천지다. 널려있는 말똥 지뢰를 피해 올라가야 하므로 은근히 신경이 쓰인다. 안부에서는 멀리 새별오름 분화구가 일부만 보인다. 안부와 분화구 사이 오른쪽으로는 삼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고 왼쪽으로는 너른 들판이 펼쳐있다.

안부에서 촛대봉 정상까지 걸리는 시간은 10분 정도다. 정상에는 묘지 1기가 터줏대감처럼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 옆으로 화산암이 있는데 용암유출 흔적이다. 화산암 아래에는 천정을 이룬 조그만 굴이 있다. 촛대봉 정상은 새별오름 분화구가 일부만 보일 뿐 조망은 별로다. 정상을 지나 폐타이어 길을 따라 내려가면 촛대봉을 오른쪽으로 끼고 도는 오솔길이다. 다만 길의 흔적이 뚜렷하지 않아 살짝 신경을 써야 한다. 오솔길을 따라가면 새별오름 분화구가 보이기 시작한다. 계속 진행하면 조금 전 올라갔던 이달오름 들머리와 만난다. 새별오름과 이달봉 사이를 관통하는 비포장도로를 따라 10~15분 정도 걸어가면 종착점인 새별오름 주차장이다.

 

▲이달봉~촛대봉~새별오름(혹은 촛대봉~이달봉~새별오름)

새별오름으로 올라가지 않고 이달봉에서 출발해 촛대봉과 새별오름을 순환하는 것도 방법이다. 출발지는 새별오름 서쪽(왼쪽) 들머리와 붙어있다. 앞서 소개한, 새별오름과 이달봉 사이 평지에 놓여있는 비포장도로를 반대로 걷는 길이다. 중간에 공동묘지가 넓게 조성되어 있고 오른쪽은 새별오름, 왼쪽은 벌판이다. 이달봉 들머리까지는 걸어서 10~15분 정도 소요된다.

새별오름 서쪽 입구에서 시작되는 이달봉(가운데) 가는길

 

드물지만 촛대봉으로 올라가 이달봉~새별오름을 거쳐 하산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위에서 소개한 이달봉 들머리(‘ㄹ’자 철제 방책)와 안부를 지나 왼쪽으로 촛대봉을 끼고 오솔길을 걸어가야 한다. 그러면 임도(시멘트 포장도로) 끝지점이 보이고 그곳에 엉성한 철문이 있다. 철문 안으로 들어가면 오른쪽으로 희미한 길이 나있다. 더 드문 경우는 승용차로 이달봉 서쪽 녹근로에 놓인 이달봉 1교에서 이달봉 옆으로 난 300m 길이의 임도(시멘트 포장도로)를 따라가다가 막다른 곳에 차를 주차하고 철문 안으로 들어가 촛대봉으로 오르는 경우다. 촛대봉 정상부터 어떤 코스로 진행할지는 위 글을 참고해 정하면 된다.

이 대목에서 조언하자면 굳이 촛대봉을 올라야 하느냐는 것이다. 촛대봉 오르는 이유는 단 하나다. 이달봉까지 온 김에 옆에 붙어있는 촛대봉까지 올라보자는 것인데 산행길이 워낙 밋밋한데다 조망의 멋이 없어 굳이 촛대봉에 올라야 하느냐는 회의가 생긴다. 결론은 산을 좋아하는 산꾼이라면 모를까 분화구를 보려고 이달봉을 찾아간 사람들은 굳이 촛대봉까지 오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새별오름, 이달봉, 촛대봉 안내지도

 

▲나홀로나무

새별오름까지 갔으면 궁금해서라도 들러야 할 곳이 있다. 너른 초지에 홀로 서 있어 이름붙여진 나홀로나무다. 한 CF로 알려지기 시작해 요즘엔 젊은 세대의 사진명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사진을 찍으면 새별오름이 나무 뒤에서 함께 찍힌다고 해서 새별오름 나홀로나무로 불리지만 새별오름과 다소 거리가 있어 걷기에는 다소 무리다. 해서 승용차로 이동해야 하는데 검색이 안되는 내비게이션도 있다. 이럴 때는 ‘그리스신화박물관’을 검색해 박물관 앞 광산로를 따라 700m 직진하면 오른쪽 벌판 한가운데 홀로 서 있는 나무를 볼 수 있다. 주차장이 없어 갓길에 주차해야 하는데 도로변에 세워져 있는 렌트카들만 보고도 쉽게 찾을 수 있다.

나홀로나무는 금악리 벌판에 고즈넉한 모습으로 우두커니 서 있다. 원래 갸날픈데다 초봄의 앙상한 나뭇가지가 더해져 외로워 보이나 나무 뒤 저 멀리에 새별오름과 이달봉이 수호신처럼 버티고 있어 무서워할 것 같지는 않다. 이달봉은 초록색이고, 새별오름은 황토색이어서 배색이 절묘하다. 나홀로나무 수종은 머귀나무다. 제주도와 전남·경남 등 남해안에서 자라는 난대성 나무로 육지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산초나무와 비슷하다. 꽃, 열매, 가시까지 비슷하지만 산초나무보다는 크게 자란다.

나홀로나무. 왼쪽이 이달봉이고 오른쪽이 새별오름이다.

 

■보너스 상식

 

▲제주들불축제

새별오름의 또 하나 구경거리는 해마다 3월에 열리는 들불축제다. 드넓은 남사면 억새에 불을 붙이면 거대한 불길을 뿜으며 제 몸을 태우는 모습이 장관이다. 제주는 수십년 전까지만해도 농한기에 중산간 초지를 찾아다니며 소를 방목하는 풍습이 있었다. 늦겨울에서 경칩에 이르는 기간에는 양질의 새풀이 돋아나도록 하고, 해충을 구제하기 위해 목야지에 불놓기(방애)를 했다. 그래서 그 무렵 중산간 일대는 마치 들불이 난 것처럼 장관을 이루었다. 이러한 풍습을 축제로 승화·발전시킨 게 제주들불축제다.

제주들불축제는 1997년 정월대보름을 전후한 시기에 처음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애월읍 납읍리와 구좌읍 덕천리 중산간을 오가며 개최하다 2000년부터 지금의 새별오름으로 고정화하고 주차장을 대폭 확장했다. 문제는 제주의 열악한 기상상태였다. 강풍과 추위, 눈과 비 날씨로 오름불놓기를 연기하는 사례가 발생하자 축제 일정을 정월대보름 전후에서 새봄이 움트는 경칩을 맞는 날이 속한 주말로 옮겼다. ‘정월대보름들불축제’이던 명칭도 2013년부터 ‘제주들불축제’로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다만 코로나19(2020~2021년)와 울진산불축제(2022년)로 인해 2020년부터 3년 연속 취소되었다.

제주들불축제 (출처 제주시)

 

▲1374년 ‘제주 어름비 전투’

이달봉 주변은 역사적으로 제주 역사의 한 획을 그었던 어름비전투가 1374년 벌어진 현장이기도 하다. 1273년(원종 14년), 몽골의 원나라가 제주의 삼별초를 진압하면서 제주가 원나라 수중으로 들어갔다. 원나라는 1276년(충렬왕 2년) 제주에 몽골인 목자(牧者)를 보내 원나라에서 가져온 말을 기르게 했다. 그때 이후 제주에 거주하는 몽골인들을 목호로 불렸다.

원나라가 제주를 지배한 지 100년이 다 될 무렵인 1368년, 중국의 주원장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명나라를 세우면서 제주는 명나라의 지배 지역으로 바뀌었다. 주원장이 제주 말 중에서 2000필을 명나라에 바치라고 해 고려 조정은 제주말을 징발하려 했으나 제주에서 터를 잡고 살고 있는 몽골인 목호들이 거세게 반발하면서 충돌이 벌어졌다.

목호들은 1372년(공민왕 21년), 말 징발을 위해 고려 조정에서 내려보낸 수백명의 군사들을 살해하는 이른바 ‘목호의 난(牧胡―亂)’을 일으켰다. 격분한 공민왕은 1374년(공민왕 23년), 최영 장군에게 몽골인 목호들을 토벌하도록 지시했다. 최영 장군은 300여 척의 선박과 2만 5000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제주시 한림읍 명월포(현 웅포리 포구)에 닻을 내렸다. 뒤이어 어름비(애월읍 어음리)를 비롯해 밝은오름(한림읍 상명리)~금물오름(한림읍 금악리)~새별오름(애월읍 봉성리)~예래동(서귀포시 예래동)~홍로(서귀포시 동·서홍동) 등에서 저항하는 몽골인 목호들을 격퇴했다.

목호들은 서귀포시 남쪽의 범섬으로 들어가 최후의 결전지로 삼았다. 작은 섬이지만, 해안에서 1.3㎞나 떨어져 있고 절벽으로 둘러싸인 섬을 공략하기가 쉽지 않았으나 최영 장군은 수 십척의 배로 범섬 주변을 에워싼 뒤, 목호들을 압박했다. 결국 몽골인 수뇌부는 항복하거나 벼랑에서 몸을 던져 자살했다. 그렇게 한 달에 걸친 전쟁은 끝이 났고 제주는 몽골 지배 100년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었다.

새별오름 들머리에서 이달봉 가다가 바라본 왼쪽 평원. 과거 저곳에서 ‘어름비전투’가 벌어졌다.

 

☞ [제주 오름 가봐수까] 시리즈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