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이야기

오스카 쉰들러 ‘쉰들러 리스트’ 작성

↑ 오스카 쉰들러

이스라엘 대법원, 쉰들러를 ‘열방(列邦)의 의인’으로 선정

오스카 쉰들러(1908~1974)는 체코슬로바키아에 거주하던 부유한 독일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젊어서부터 돈을 버는 일이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았으며 사치를 일삼고 여자와 술과 도박을 좋아한 난봉꾼이었다. 그에게 삶의 전환점이 된 것은 1939년 9월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이었다. 나치당원으로 활동해온 쉰들러는 전쟁을 이용해 한밑천을 잡겠다며 1939년 10월 폴란드 남부의 크라쿠프로 갔다. 그곳에서 친위대원들에게 뇌물을 주고 암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팔아 부를 축적했다. 그 돈으로 유대인 소유의 에나멜 그릇 공장을 헐값으로 인수해 공장에서 생산한 그릇과 냄비들을 군용으로 납품했다.

공장에는 100여 명의 노동자가 있었고 일부는 유대인이었다. 유대인의 노동력은 사실상 공짜나 다름없어 유대인 노동자의 숫자가 늘어날수록 쉰들러의 사업도 번창했다. 1942년에는 800여 명의 노동자 중 유대인이 370명이나 되었다. 이들 유대인들은 공장과 가까이에 있는 크라쿠프 게토에서 조달했다. 당시 공장의 유대인들은 쉰들러를 폴란드 점령으로 부당한 이익을 취하는 또 한 명의 나치 이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그들은 낙원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유대인을 모욕하거나 구타하거나 총으로 죽이는 나치 친위대가 쉰들러의 공장에는 한 명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자 점점 많은 공장 내 유대인이 공장 밖에 있는 자신의 가족과 친척을 공장에서 일하게 해달라고 쉰들러에게 간청했다. 쉰들러는 청을 들어주었다. 배려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노인들의 나이는 서류상으로 적게 기입하고 아이들은 성인인 것처럼 나이를 올려 기입했다. 변호사, 의사, 예술가들은 금속 노동자와 기술자라고 허위 기재했다. 독일의 군수 경제와 산업에 필요한 인물이라고 강변해야 그들의 목숨을 부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었다.

1942년 10월 나치가 ‘크라쿠프 작전’으로 명명한 잔혹한 게토 소탕 작전을 전개했다. 1943년 3월까지 계속된 ‘크라쿠프 소탕 작전’으로 2,000여 명의 유대인이 게토에서 죽고 2,000여 명이 아우슈비츠 가스실로 끌려갔으며 4,000여 명은 플라주프 강제수용소로 보내졌다. 플라주프 수용소장이자 친위대 대위인 아몬 괴트는 폭력, 예측 불허, 사디즘으로 악명을 떨쳤다. 그는 수용자들의 노동력을 이용해 군수품을 생산하거나 건물을 짓기보다는 그들을 괴롭히는 데 더 관심이 많았다. 괴트로 인해 많은 유대인이 죽거나 다치자 쉰들러는 대책을 세워야 했다. 괴트의 무자비한 성격 탓에 자칫 자신의 유대인 노동자들까지 죽을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죽음으로 내몰린 1,098명의 유대인 빼내

쉰들러는 괴트가 여자와 술과 돈을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고 그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가깝게 지냈다. 그러면서 자신의 공장을 크게 확장할 계획이라고 떠벌리고 다녔다. 이렇게 괴트에게 공을 들이고 평소 뿌려놓은 뇌물의 힘이 작용해 쉰들러는 본인이 직접 관리·운영하는 수용소를 설립해도 좋다는 허가를 받아냈다. 쉰들러는 공장 인근에 수용소를 만들어 나치의 감시병들이 공장 안으로 들어오거나 노동자들을 부당하게 대우하지 못하도록 했다. 그러면서 수시로 성대한 파티를 열어 괴트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일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독일의 패전이 임박한 1944년 여름 강제수용소 소장들에게 “건강한 수용자들은 서부 독일로 보내고 노동 능력이 없다고 판단되는 수용자들은 말살하라”는 지시가 떨어졌다. 플라주프 강제수용소와 쉰들러의 수용소에서도 5,000여 명이 멀리 마우트하우젠 수용소로 끌려갔다. 쉰들러는 그 중에 자기 수용소의 유대인이 400명이나 포함된 사실을 알고 낙담했다. 이를 계기로 더 대담한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쉰들러는 평소 쌓아둔 인맥을 총동원해 자기 공장을 체코슬로바키아 수데텐란트의 브륀리츠로 이전해 군수품 생산에 집중할 수 있게 해달라고 베를린에 청원했다. 그러면서 자신의 공장이 전쟁 수행에 매우 중요하고 공장에서 일하는 숙련된 유대인 노동자들이 공장 운영에 필수적인 존재라는 사실을 강조해 허락을 받아냈다.

쉰들러가 브륀리츠로 데려갈 1,000여 명의 리스트는 1944년 10~11월 사이에 작성되었다. 브륀리츠로 가는 여정에도 위기의 순간이 있었다. 쉰들러 리스트의 유대인 남자 700명을 태운 열차가 브륀리츠로 가지 않고 300km 떨어진 다른 강제수용소로 방향을 바꾼 것이다. 그들을 빼내 브륀리츠로 데려가기 위해 쉰들러는 또다시 강제수용소 소장에게 온갖 뇌물을 바쳤다.

여자 300명은 더 끔찍한 일을 겪었다. 그들을 태운 열차가 다른 유대인들과 함께 아우슈비츠로 직행했던 것이다. 그들 역시 쉰들러가 보낸 다이아몬드가 위력을 발휘해 아우슈비츠에서 빼내졌다. 이렇게 해서 쉰들러 리스트에 올라 있는 모두 1,098명의 유대인이 살아날 수 있었다. 쉰들러는 브륀리츠 공장과 인근에 공장 부속 수용소를 건립하는 데 많은 돈을 쏟아부었다. 유대인 노동자들을 보살피고 먹여 살리는 데도 많은 자금이 들어갔다. 나치 친위대는 물론 공장 감시병들이나 관료들에도 엄청난 뇌물이 들어갔다.

쉰들러 리스트

 

말년에는 ‘쉰들러 생존자’들의 도움 받으며 살아

1945년 4월 30일 히틀러의 자살로 전쟁이 사실상 끝나고 소련군이 수데텐란트로 밀려들어 왔다. 쉰들러 공장의 유대인 1,098명은 자유의 몸이 되었지만 쉰들러 부부는 나치당의 일원이면서 전쟁의 특혜를 입은 사람이었기 때문에 도망자 신세가 되었다. 쉰들러 부부는 미국으로 가고 싶었지만 나치당원이라는 전력 때문에 거부당해 아르헨티나로 건너갔다. 그곳에서 가축농장 등을 운영했으나 실패하자 1957년 부인은 현지에 남고 쉰들러만 독일로 돌아왔다. 부부는 이후 다시 만나지 못했다. 쉰들러는 독일에서 이런저런 사업에 손을 댔으나 그때마다 실패했다.

그러던 중 1961년 이스라엘 대법원이 쉰들러를 ‘열방(列邦)의 의인’으로 선정했다며 이스라엘로 초청했다. ‘열방의 의인’은 이스라엘의 국립기념관이 나치의 지배 아래서 절멸의 위협에 놓인 유대인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헌신한 비유대인들에게 부여하는 호칭이다. 쉰들러는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쉰들러 생존자’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예루살렘에 있는 ‘의인의 길’에는 자신의 이름을 딴 나무를 심었다.

쉰들러가 ‘열방의 의인’이라는 칭송을 듣고 독일로 돌아오자 독일인들이 차가운 반응을 보였다. 그의 집에는 돌이 날아들었고 일부 언론은 “아무것도 하지 않았으면서 무언가를 한 것처럼 행세하는” 사악한 양심의 소유자로 매도했다. 말년의 쉰들러는 ‘쉰들러 생존자’들의 도움을 받으며 살았다. 1974년 눈을 감은 후 시신은 유언에 따라 예루살렘으로 옮겨져 시온산의 가톨릭 묘지에 묻혔다.

‘쉰들러 리스트’ 안에는 레오폴드 페이지라는 유대인도 있었다. 페이지는 종전 후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가죽 제품 장사를 하며 사람들에게 쉰들러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러나 귀담아듣는 사람들이 없었다. 그러다가 1980년 호주인 소설가 토머스 커널리가 그의 이야기를 듣고 2년 후 ‘쉰들러의 방주’라는 제목의 소설을 출간해 세상에 알려졌다. 유대인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도 1993년 영화 ‘쉰들러 리스트’를 만들어 전 세계에 쉰들러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