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박스

[허균과 홍길동전 2-①] 허균이 ‘홍길동전’ 한문소설의 저자일 수는 있으나 한글소설의 저자는 아니고 더구나 ‘홍길동전’이 최초 한글소설도 아니라는데

↑ 국내 첫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인 신동헌 감독의 ‘홍길동’(1967년)

 

by 김지지

 

‘홍길동전’은 이런 소설

‘홍길동전’을 모르는 한국인은 없다. 만화와 영화로 수없이 제작되고 중고교에서도 ‘홍길동전’을 가르친다. 우리가 배운 바에 따르면, ‘홍길동전’은 양반가에서 서얼(첩의 자식)로 태어난 홍길동의 일대기를 그린 우리나라 최초 한글소설이고 저자는 허균이다. 참고로 서얼은 서자와 얼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서자는 양민인 첩의 자식이고 얼자는 천민인 첩의 자식이다. 홍길동의 모친은 천민이었기 때문에 정확히 말하면 홍길동을 얼자라고 해야 하나 이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서얼로 통일한다.

본론으로 돌아가면 허균(1569~1618)은 조선 선조와 광해군 때 학자이자 문신이다. 아버지는 강릉 초당두부를 고안한 사람으로 알려진 허엽, 첫째 형은 이름난 문장가이자 임진왜란 직전 김성일·황윤길과 함께 일본에 갔다 왔던 허성, 누나는 여성 문인으로 유명한 허난설헌이다. 허균에 대해서는 이 글 2편에서 자세히 다룬다.

‘홍길동전’의 홍길동은 탐관오리를 물리쳐 고통받는 민초들에게 대리만족과 통쾌함을 선물주고 꿈과 희망을 안겨준 의적이다. 연구자들은 ‘홍길동전’이 그토록 오랫동안 민중의 사랑을 받은 이유를 신분제 모순 비판, 적서차별 철폐, 탐관오리 응징, 봉건 체제 비판, 해외 이상국(율도국) 건설 등을 활극풍의 서사로 담아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런데 소설 속 홍길동과 달리 조선왕조실록에 수차례 등장하는 홍길동이라는 실존 인물도 있다. 소설 속 홍길동(洪吉童)과 실존 인물 홍길동(洪吉同)은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을 모두 갖고 있다. 도적이고 관리들을 꼼짝 못하게 하고 일부 백성들의 지지를 받고 서얼(추정)로 태어났다는 것은 유사하다. 결정적으로 다른 것은 실존 인물 홍길동이 의적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홍길동은 1500년(연산군 6년) 체포되었는데 13년 뒤 실록에 이런 기록이 있다. “충청도는 홍길동이 도둑질한 이후 유망(流亡·거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사람)이 회복되지 못해 세금을 거두기 어렵다.” 홍길동의 도적질로 관아나 부자뿐 아니라 일반 백성의 피해 역시 무척 컸음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이로 미루어 우리가 아는 ‘홍길동’ 즉 ‘도술을 자유자재로 쓰면서 탐관오리를 혼내주는 정의로운 캐릭터’의 홍길동은 조선 후기의 한글소설 속 묘사에 기초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홍길동전’의 저자가 허균이 아니라는 근거는

최근 ‘홍길동전’의 저자는 허균이 아니고 최초 한글소설도 아니라는 주장이 전문학자들 사이에 제기되면서 관련학계는 물론 일반인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물론 이런 주장이 처음 제기된 것은 아니지만 ‘홍길동전’을 40년간 연구해온 전문학자가 구체적인 논거를 들어가며 제기했다는 점에서 파장이 적지 않다. 최근 이 문제를 논쟁의 장으로 끌어들인 학자는 이윤석 전 연세대 국문과 교수다. 그는 2018년 발간한 ‘홍길동전의 작자는 허균이 아니다’(한뼘책방)에서 자신의 주장을 조목조목 밝혔다. 주요 내용은 ‘홍길동전’은 ▲1800년 무렵 이름 없는 어느 평민 작가가 썼고 ▲최초의 한글소설도 아니며 ▲적서차별 타파와 사회 개혁을 다룬 작품이 아니고 서민의 소박한 신분 상승 소망을 표현한 작품이라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홍길동전’은 한글소설의 발전 단계상 도저히 허균 시절인 16~17세기에 나올 수 없다. 한글소설은 초기에는 중국 소설을 수입·번역한 형태로 나왔다가 18세기 후반에 가서야 새로운 형식의 한글소설이 창작되는데 분량이 짧고 주인공의 입신출세 이야기가 들어 있으며, 전쟁 이야기가 포함된 군담(軍談)이 들어간다. 이렇게 나온 작품들이 ‘소대성전’ ‘조웅전’ ‘유충렬전’ 같은 소설인데, ‘홍길동전’ 역시 이 유형 중 하나라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사실은 ‘홍길동전’이 숙종(재위 1674~1720) 이후의 소설이라는 단서가 이미 소설 안에 있다는 점이다. 단서는 황석영의 소설로 유명한 ‘장길산’이다. 소설 속에서 홍길동이 장길산을 ‘옛날 사람’으로 지칭하는데 장길산은 1692년(숙종 18년) 이후에야 실록에 등장한다. 이를 근거로 한글 ‘홍길동전’이 나온 시기가 최소한 1692년 이후라는 것이다. 그런데 ‘홍길동전’ 저자로 알려진 허균의 생몰연도는 1569년~1618년이다. 허균이 저자라면 시기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는다.

또 하나 사실은 허균의 문집 어디에도 ‘홍길동전’을 썼다는 기록이 없고, 허균이 저자라는 사실을 언급한 책도 없다는 것이다. 호러스 알렌의 ‘Korean tales’(1889년)와 모리스 쿠랑의 ‘한국서지’(1894년)에서도 ‘홍길동전’을 소개했으나 저자는 밝히지 않고 있다. 최남선이 문고본 소설로 1913년 발간한 ‘육전소설’ 중 하나인 ‘홍길동전’에도 허균에 대한 언급은 없다.

 

#홍길동 #허균 #홍길동전 #택당집 #한글소설 #최초 #서얼 #노혁전 #설공찬전 #이윤석

 

☞ 전문(全文)을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클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