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이야기

유현목 감독의 영화 ‘오발탄’ 개봉

복합적인 주제의 복선, 뛰어난 연출에 빛나는 불후의 명작

전 세계 영화 전문가들이 최고로 꼽는 영화는 미국의 ‘시민 케인’(1941년)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영화 전문가들이 꼽는 한국 최고의 걸작 영화는 무엇일까? 그것은 유현목(1925~2009) 감독의 ‘오발탄’이다. 1959년 한 편의 소설이 유현목의 가슴을 쳤다. 전쟁 후 궁핍하던 한국 사회의 비극적 모습을 가장 리얼하고 탁월하게 묘사했다는 이범선의 단편소설 ‘오발탄’이었다.

작품에서 풍겨 나오는 절망감에 공감한 유현목은 영화를 만들기로 하고 제작자를 찾아 나섰다. 하지만 “주제가 무거워 흥행이 안될 것”이라며 선뜻 나서는 이가 없었다. 우여곡절 끝에 한국 최초의 조명기사 김성춘이 사재를 털어 제작비를 대겠다고 나선 덕에 영화는 1959년 촬영에 들어갈 수 있었다. 스태프와 출연진도 최소 개런티로 출연하겠다며 영화 완성에 십시일반 도왔다.

그래도 제작비는 늘 부족해 필름이 생기면 찍고 필름이 떨어지면 쉬기를 반복했다. 촬영이 한창 진행 중이던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나 당시의 사회현실에 맞게 시나리오를 다시 손본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이었다. 그렇게 촬영된 영화 ‘오발탄’은 1961년 4월 13일 서울 국제극장에서 개봉되었다.

무대는 북에서 피란 내려온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서울의 해방촌이었다. 영화는 심한 치통에 시달리면서도 박봉 때문에 병원조차 갈 수 없는 월급쟁이 철호와 그 가족을 하나하나 묘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노모는 전쟁이 터지던 날 폭격의 충격으로 실어증에 걸려 비행기 소리만 들리면 “가자, 가자!”를 외쳐댔고, 아내는 영양실조에 만삭이었다. 상이군인 출신의 동생 영호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깡패였고 여동생 명숙은 미군들에게 몸을 팔았다.

철호는 이런 현실에서도 아등바등 살아보려 했으나 동생 영호가 은행강도를 하다 경찰에 붙잡혀가고 아내는 아기를 낳다 죽는 등 모든 문제가 한꺼번에 터져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 철호는 어느 날 온갖 고통을 암시하는 충치들을 한꺼번에 뽑아버리고 택시를 잡아탔으나 어디로 가야 할지를 몰랐다. 실성한 모친이 있는 집, 동생이 잡혀 있는 경찰서, 아니면 죽은 아내가 있는 병원 중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횡설수설하자 택시운전사가 “어쩌다 오발탄 같은 손님이 걸렸군. 자기 갈 곳도 모르는…”이라며 불만을 터뜨렸다.

 

“어쩌다 오발탄 같은 손님이 걸렸군. 자기 갈 곳도 모르는…”

내용상으로만 보면 ‘오발탄’도 다른 궁핍한 시대의 문학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소설에는 작가 이범선이 깔아놓은 복합적인 주제의 복선이 있었고, 영화에는 이를 리얼하게 살린 유현목의 뛰어난 연출이 있었기에 영화는 불후의 명작이 될 수 있었다.

주인공 철호는 작품의 초반부터 ‘갈 곳 없는 사람’으로 묘사되었다. 집에 가봐야 그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암울한 현실뿐이며 고향인 이북에도 가지 못한다. 정신이상의 어머니는 이데올로기 대립의 비극을 대표했고, 미군의 위안부 노릇을 하는 여동생 명숙은 전후 사회의 현실적 비극과 가치관의 붕괴를 암시했다. 무장강도로 전락한 남동생 영호은 당시 젊은이들의 뿌리 깊은 좌절과 분노와 파멸을 상징했다. 따라서 소설과 영화는 전쟁과 분단과 빈곤, 그리고 부정과 부패와 타락에 시달려야 했던 그 시대 한국인들의 자화상이었다.

영화는 사실적인 영상, 논리정연한 전개, 상징적인 영상미학으로도 도드라졌지만 배우들의 열연도 돋보였다. 김진규 특유의 고뇌에 찬 표정과 중후한 연기는 주인공 철호의 이미지를 완벽하게 살려냈고 영호역의 최무룡도 좌절과 분노 속에서 절규하는 당시 젊은이의 모습을 리얼하게 연기했다.

영화가 개봉되고 한 달 후에 일어난 5·16 쿠데타는 ‘오발탄’에 큰 시련을 안겨주었다. 내용이 너무 어둡고 극중 노모(엄앵란)가 내뱉었던 “가자, 가자!”가 북한을 연상케 한다는 이유로 군사정권이 상영을 전면 중단시킨 것이다. 상영금지는 27개월이나 계속되다가 미 샌프란시스코 국제영화제가 ‘오발탄’의 출품을 요청한 덕에 1963년 8월 23일, 상영금지 딱지를 뗄 수 있었다.

유현목은 이만희 감독의 ‘7인의 여포로’(1965년)로도 곤욕을 치렀다. 북한 인민군에게 붙잡힌 국군 간호장교 포로 7명의 이야기를 다룬 ‘7인의 여포로’에서 북한군이 국군보다 더 좋은 옷차림을 하고 있고 또 국군이 바보스럽게 묘사되어 북한이 더 우월한 체제로 보이게 했다는 이유로 이만희가 1965년 2월 반공법 위반 혐의로 구속 기소되자 흥분한 유현목이 “우리나라의 국시는 반공이 아니라 자유”라며 이만희 감독을 옹호한 게 문제가 된 것이다.

 

‘사회적  리얼리즘의 거장’으로 불려

정부는 국시 관련 발언을 트집 잡아 1966년 1월 유현목을 반공법 위반으로 기소했다. 이것만으로는 유현목을 엮어 넣을 수 없다고 판단했는지 1965년 7월 개봉한 영화 ‘춘몽’에 여배우의 뒷모습 전라 장면이 나온다며 외설죄까지 적용했다. 1심에서 반공법은 무죄를, 외설은 벌금 3만 원의 처벌을 받았다. 외설 부분은 2심에서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유현목은 황해도 사리원에서 태어나 휘문중학을 졸업하고 1946년 동국대 국문학과에 입학했다. 영화에 관심이 생겨 1947년 임운학 감독의 16㎜ 무성영화 ‘홍차기의 일생’에 조감독으로 참여했다. 이후 정창화 감독의 ‘최후의 유혹’ 시나리오를 쓰고 조감독으로 활동했으며 이규환 감독의 ‘춘향전’ 조감독으로도 참여하는 등 7년 동안 조감독 생활을 이어갔다.

1956년 1월 15일 국도극장에서 개봉한 ‘교차로’를 통해 감독으로 데뷔하고 이후 ‘영상파․예술파 감독’, ‘사회적 리얼리즘의 거장’으로 불리며 김기영, 신상옥 감독과 함께 1960~1970년대 한국영화의 황금기를 대표했다. 1995년 작 ‘엄마와 별과 말미잘’까지 43편의 극영화와 1편의 기록영화를 만들었다.

당시의 제작 풍토에서는 과작이긴 하지만 ‘오발탄’을 비롯해 ‘잃어버린 청춘’(1957년), ‘아낌없이 주련다’(1962년), ‘김약국의 딸들’(1963년), ‘잉여인간’(1964년), ‘카인의 후예’(1964년), ‘순교자’(1965년), ‘장마’(1979년), ‘사람의 아들’(1980년) 등 영화 학도들에겐 교과서와 같은 작품들을 다수 연출했다. 대종상 감독상을 9차례나 받고 다른 영화 관련 상도 수차례 수상했다. 1976년부터 1990년까지는 동국대 연극영화학과 교수로 활동하며 후학을 가르쳤다.

유현목의 작품 바닥에는 늘 고뇌에서 벗어나려는 인간의 어두운 내면세계가 깔려 있다. 그래서 영화는 진지하고 무겁고 어둡다. 영화계는 이런 유현목에게 ‘장의차’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