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사전편찬회 결성… 핵심 인물은 이극로
구한말 한글사전 역할을 한 것은 외국인이 만든 대역(對譯)사전 한글사전이 나오기 전, 사전의 길잡이 역할을 한 것은 외국어 어휘를 우리말 어휘와 대응해 놓은 대역(對譯)사전이었다. 프랑스 […]
구한말 한글사전 역할을 한 것은 외국인이 만든 대역(對譯)사전 한글사전이 나오기 전, 사전의 길잡이 역할을 한 것은 외국어 어휘를 우리말 어휘와 대응해 놓은 대역(對譯)사전이었다. 프랑스 […]
서울역 창고에서 ‘사전 원고’ 발견되어 사전 편찬 시동 걸어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1942년 10월부터 수감 중이던 이극로, 최현배, 이희승, 정인승이 해방과 함께 풀려나 조선어학회의 재건 […]
표준어 원칙의 기본 뼈대는 중류사회에서 쓰는 서울말 주시경이 작고(1914)한 뒤에도 주시경의 후학들은 ‘조선언문회’를 중심으로 한글 연구와 보급을 계속했다. 주시경이 살아 있을 때만큼 활발하지는 않았으나 […]
주시경의 문법 이론을 체계화한 문법책 오늘날 남북의 언어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원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어휘면에서는 이질적인 점이 많아도 문법적인 면에서는 크게 보아 동질적이다. 이는 […]
절망에 빠진 한국인에게 희망 심어줘 제임스 게일(1863~1937)은 1888년부터 40년 동안 선교사와 목사로 기독교 복음을 조선에 파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조선의 문화와 역사를 세계에 알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