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농민 신형준의 ‘세상 바투보기’] ‘삼국사기’ 저자 김부식을 위한 변명… ‘국수적 시각’에 대한 안타까움을 담아
↑ ‘삼국사기’(왼쪽)와 김부식 영정 ‘삼국사기’ 꼼꼼히 읽어보면 김부식이 ‘사대주의자’ 아니라는 것 알게 돼 ‘삼국사기’의 저자, 김부식 하면 어떤 생각이 떠오르십니까? 사대주의자라는 평가를 들으신 […]
↑ ‘삼국사기’(왼쪽)와 김부식 영정 ‘삼국사기’ 꼼꼼히 읽어보면 김부식이 ‘사대주의자’ 아니라는 것 알게 돼 ‘삼국사기’의 저자, 김부식 하면 어떤 생각이 떠오르십니까? 사대주의자라는 평가를 들으신 […]
↑ 무령왕릉 묘지석 오른쪽에 ‘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이라고 새겨있다. 기자 생활 대부분을 문화재 기자를 하면서 지냈다. 나름 특종도 많이 했다고 자부한다. 자랑질을 아주 노골적으로 […]
↑ 대표적인 북학파 3인의 초상화. 왼쪽부터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다. 홍대용은 청나라 문인 엄성(嚴誠)이, 박지원은 손주 박주수가, 박제가는 청나라 학자 나빈(羅聘·뤄핀)이 그렸다. ‘조상들의 과학 […]
↑ 미국에서 귀환한 ‘앙부일구’(출처 문화재청) 조선의 낙후성 드러내는 유물이 ‘조선 과학 기술의 정수’로 둔갑되는 현실 작년 말 미국에 있던 조선 해시계가 귀환했습니다. 18세기 […]
↑ 영은문(왼쪽)과 독립문 과거 이 땅의 지식인들은 ‘우리가 중국의 속국’이라고 인정했는데 잊고 싶은 ‘흑역사’가 누구에게나 있을 겁니다. 실수를 전혀 하지 않거나, 비굴했던 적이 […]
“존재하지도 않은 사실을 과장되게 기록하는 것은 잘못” 이병도(1896~1989)는 우리나라 최초로 과학적인 방법론과 철저한 고증을 중시한 사학자다. 우리 역사의 과학적, 실증적, 종합적 규명과 체계화를 위해 […]
↑ 김용섭(왼쪽)과 ‘조선후기농업사연구’(전2권) by 김지지 김용섭 연세대 명예교수의 ‘김용섭 저작집’이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주관하는 제1회 한국학 저술상 수상작으로 2020년 2월 선정되었다. 저작집은 ‘조선후기농업사연구’ ‘한국근대농업사연구’, […]
우리 근현대사를 관통한 시대의 목격자요 증인 1901년 평북 용천에서 태어나 일제 식민지와 해방공간 그리고 자유당 정권과 유신체제를 거쳐 1988년의 서울올림픽 평화대회 위원장까지 맡고 눈을 […]